공부보다는 놀이를 즐길 수 있는 시간에 대한 은근한 기대 때문이다.
우리 사회는 놀이를 공부와 이분법적으로 분리하여 경시하는 풍조가 있다. ‘논다’라는 용어를 일탈적인 놀이문화에 빠져 있는 것과 동일하게 취급한다.
‘청소년은 미래의 주역’이라는 명분을 내세워 ‘오직 학업에 충실한 착한 아이’가 되어야 한다는 묘한 논리를 개입시킨다.
그러나 놀이는 특히 발달시기에 있는 청소년기에 단순히 공부와 분리된 개념으로서가 아니라 학업을 더욱 증진시키고, 성장기의 다양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발달을 촉진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교육학자들은 말한다.
특히 놀이는 인간의 성장을 도우며 인간관계를 확장시켜 주고, 흥미와 집중력을 높여주며 탐구력과 판단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성인의 역할을 배워가도록 돕기 때문에 최근에는 놀이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다양화·급변화의 21세기 미래사회를 능동적으로 주도할 역군을 양성하기 위해 창의성 교육이 학교교육 최고의 화두로 떠오르면서, 청소년 놀이 문화가 받는 대우는 예전과 사뭇 다르다. 놀이를 체험학습이라 부르며, 학습이란 용어가 따라 붙는다.
문제는 그들이 즐기는 놀이 문화의 질(質)이며, 건전한 놀이를 즐기기 위한 바람직한 놀이 마당을 어른들이 제공해 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최근 연천 총기난사사건이 일어났을 때 리셋증후군 운운하며 컴퓨터 게임에만 몰두한, 편협되고 부조화스런 청소년 놀이문화를 문제의 가장 큰 원인으로 꼽지 않았던가?
조선시대 학동들이 하는 놀이 중에 ‘승경도(陞卿圖) 놀이’라는 것이 있었다. 서당에 다니는 학생들이 하던 실내 오락으로 오각의 박달나무에 벼슬이름을 품계에 따라 적어 넣은 후 던져서 나온 글자에 따라 관등이 올라가거나 내려가며 벼슬놀이를 했었다.
품격과 소양을 갖춘 놀이를 하여 몸에 배게 함으로써, 훗날 관직에 올랐을 때 자리에 걸맞는 격(格)을 갖추도록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었다고 한다.
우리 학생들의 놀이에도 품격이 있었으면 한다. 그들이 즐기는 놀이 문화가 먼 훗날 그들의 건강한 삶의 문화와 자연스럽게 접속될 수 있었으면 한다.
비행기는 이륙할 때보다 착륙할 때 바퀴나 기체자체가 심각한 충격에 노출되기 때문에 중량의 무게가 훨씬 크다. 그래서 최대착륙중량을 줄이기 위해서 대기 중에 남은 연료를 공중에 버린다고 한다. 그래야 다음 비행도 안전하고, 비행기의 수명이 훨씬 길어진다.
여름방학은 될 수 있으면 우리 아이들의 머리 속을 가볍게 해주는 매트릭스가 되어야 한다. 머리를 무겁게 하는 잘못된 지식들을 버리고, 그들이 스스로를 발달시킬 수 있는 여백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즐거운 여름방학을 맞아, 폭넓은 인간 관계를 맺을 수 있는 놀이, 세상을 바라보는 안목을 높여줄 수 있는 놀이, 양보와 협동을 함께 배울 수 있는 놀이를 그들이 마음껏 체험했으면 한다.
그리고 가벼운 몸과 마음으로 새학기를 맞아 학교로 돌아오길 진심으로 소망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