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 결과 대덕연구단지에 위치한 한국원자력연구소 동위원소생산시설에서 극미량의 방사성물질이 누출된 것이었으며, ‘관리부재’에 따른 것으로 밝혀져 원자력시설에 대한 안전규제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국내 원자력의 생산과 이용에 따른 방사선 재해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고 환경을 보전하기위해 운영되고 있는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이 과연 어떤 곳인지 등에 대해 알아본다. <편집자 주>
국내 가동 중인 20기의 원자력발전소와 연구용 및 교육용 원자로 등은 안전성을 최우선으로 해 설계·제작·건설·운전되고 있지만 운전과정에서 예기치 못한 기기 장치의 고장이나 운전원의 실수 등으로 인해 사고가 발생할 우려를 갖고 있다.
이들 시설들에서 만일 사소한 사고가 발생했다 할지라도 그 피해는 상상보다 엄청나다.
이에 원자력안전규제기관인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원장 신원기, KINS)은 원자력의 생산 및 이용에 따른 방사선재해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고, 공공의 안전과 환경보전에 이바지하기 위해 지난 1981년 발족돼 지금까지 운영되고 있다.
안전기술원의 주요기능은 원자력시설에 대한 인허가 심사 및 검사, 원자력안전규제 기술기준 및 기술 개발, 방사성동위원소 안전관리, 환경방사능 조사 및 평가, 방사선방호기술지원, 원자력관계 면허시험 관리 등이다.
원자력과 방사선을 생산하고 이용하는 모든 시설을 규제대상으로 활동하고 있는 안전기술원은 ▲환경방사능 측정을 위한 시료분석 설비를 갖춘 ‘환경방사능 분석시설’ ▲방사선비상시 방재대책 수립을 위한 ‘방사선비상대책시설’ ▲피폭선량 판독 검증을 위한 ‘방사선 피폭선량 평가시설’ ▲전국토 환경방사능 감시 및 환경방사선의 실시간 연속감시를 위한 ‘환경방사능 감시시설’을 갖추고 있다.
안전기술원 신원기 원장은 “국민과 원전지역 주민들에게 한걸음 더 다가서는 대중커뮤니케이션으로 ‘개방-참여-협력’관계를 구축하겠다”며 “국민 누구나 보고 느껴서 안심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IAEA도 부러워하는 ‘CARE 시스템’
방사선 사고 파악 등 방재대책 관리
일본 등 인정한 최고 관리기술 자랑
방사선사고는 일반 산업사고와는 달리 인체에 유해한 방사선이 존재하며 방출된 방사성물질이 공기 중에서 원거리까지 이동 확산돼 인체 및 환경에 직접적인 피폭을 주게 되므로 만일의 사태에 대비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안전기술원은 방사선비상계획을 수립하고 있으며 방사능방호기술지원본부를 두고 기술지원을 위한 전산시스템, 즉 방사능방재대책 기술지원시스템(CARE)을 개발했다.
이 시스템은 방사선관련 사고를 신속히 파악하고 사고확대 여부를 예측하고, 원자력정보, 기상정보, 환경방사능자료 수집 및 비상대응시설 자료 등을 종합적으로 총괄·관리하고 방재관련 기관들 간에 정보를 공유해 지휘 통제할 수 있는 시스템. CARE시스템의 경우 일본뿐만 아니라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을 위한 연구와 국제적인 공동관리를 위해 설립된 국제연합기구인 국제원자력기구(IAEA)로부터 시스템 도입을 제안 받았을 정도의 놀라운 성능을 자랑하고 있다.
방사성물질 최초 검출 ‘방사능 측정소’
전처리 장비 완비… 환경. 식품 방사능 조사도
국내외 방사선 이상상황을 조기에 탐지하고 적시에 적절한 대응책을 강구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40여년 전부터 생긴 측정소는 KINS의 중앙측정소와 12개 지방방사능측정소, 국가 환경방사선 자동감시망 37개소가 운영되고 있다. 지방방사능측정소에서는 공기부유진, 낙진, 빗물, 상수 도 등을 통해 방사능을 측정하며 전 국토 환경방사능을 감시한다. 또한 매년 한 차례 채소류, 과실류, 어육가공식품 등의 소비식품 방사능 조사도 벌이고 있다.
이를 위해 지방측정소에는 HPGe감해핵종 분석시스템과 저준위 알파/베타 계측기 시스템 등의 방사능 분석장비와 공간감마선량률계 등의 방사능 감시장비, 전기로 등의 전처리 장비가 갖춰져 있다.
안전기술원 정보공개실 김길중 실장은 “방사성물질 검출에 있어 지방측정소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며 “내달 초 지방출장소 관계자들 모여 각종 대책과 방안마련을 위한 의견을 나눌 계획”이라고 말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