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산=남정민 기자 |
논쟁의 핵심을 들추자면 아산시가 탕정제2산업단지를 비롯 아산신도시 조성 등 개발의 물꼬가 트인 시점에서 공장설립 및 아파트건설에 따른 각종 규제를 강화시켜 스스로 문을 닫고 있다는 것이다.
반면 시 당국은, 아니 정확히 짚자면 강희복 시장은 지금까지의 무차별 개발 승인이 계속될 경우 머지않아 도시 자체가 난개발의 덫에 걸려 ‘볼 품 없는 3류 도시’로의 전락이 불 보듯 하다는 주장이다.
게다가 개발 붐을 타고 공장 설립을 빙자해 부지를 되팔아 폭리를 챙기는 ‘전문브로커’들까지 기승을 부리는 것도 규제 강화의 큰 이유이기도 하다. 이에 지난해 7월 ‘아산시 공장입지 결정을 위한 처리기준’이 고시되면서 현재까지 공장 설립이 매우 까다로워짐에 따라 논쟁의 불씨가 더욱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장기적 안목에서 균형있는 도시발전을 위해서는 지금의 이 논쟁은 매우 필요 적절하다는 것이 객관적 시각이다. 소위 “물 들어올 때 배질해야 한다”는 지극히 일반적인 개발 주장론자들의 입장에서는 지금의 시 정책이 못마땅한 것은 당연지사일 것이다.
반면, 도시전체의 백년대계를 구상해야 하는 시 당국의 입장에서는 공장 몇 개를 더 받아들이기 위해 산을 허물고 저수지를 메워야하는 무모한 개발은 더 이상 허용치 않는다는 것이다.
요즘 강 시장의 얼굴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같은 논란의 중심에 선 시정 책임자의 고민을 역력히 읽을 수 있다. 더욱이 시장선거를 얼마 남겨놓고 있지않은 시점에서 원칙을 고수키 위해 개발과 관련한 각종 민원과 청탁을 물리쳐야 하는 심정은 ‘숯검정’ 자체일 것이다. 강 시장의 ‘고집’이 훗날 ‘스마트 아산’의 초석으로 기록되기를 기대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