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용분 대전여성환경포럼 대표 |
따라서 여성의 인력개발은 국가와 지역사회의 사회발전을 위하여 필수적인 조건이 아닐 수 없다.
특히 충청권은 행정도시가 입지하는 지역으로서 인적자원의 수요와 공급이 증대될 것이라는 측면에서 여성인력의 양성과 공급, 그리고 여성인력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수요측면에서의 인력개발전략을 준비해야 하는 시점에 와 있다.
이러한 인적자원의 개발은 해당지역의 산업발전전략과 교육훈련시스템, 지역혁신시스템의 상호관련 속에서 가능하기 때문에 더 이상 중앙집권적이 아닌 지방분권적 차원의 지역혁신 시스템 구축의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재정지원, 법, 제도, 조직의 정비만으로는 지역혁신 차원의 여성인력개발의 목표는 달성될 수 없으며 이를 효과적으로 실행하는 사람들과 그들간의 파트너십의 구축, 즉 네트워크의 시스템화가 전제될 때 목표달성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몇가지 전제된 상황 속에서 살펴볼 때 국가적으로나 지역적으로 우리가 안고 있는 여성인적자원의 문제는 양적, 질적 측면에서 상당히 높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는데 반해 여성의 교육수준향상이 공식적인 경제활동 참여의 증가로 이어지지 못하고, 고등교육을 받은 여성인력이 제대로 활용되지 못한 채 사장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미 고등교육을 받고 유휴노동력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여성들을 어떻게 가정에서 끌어내어 사회참여를 시키고 사회 여러 분야에서 활동하도록 만들 수 있느냐에 대한 문제가 바로 여성인력자원개발 방안 중에서 가장 중요한 과제이며 특히 여성의 특수성, 가정친화적인 고용정책이 고려된 인력개발정책이 여성인력활용의 핵심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여성의 참여를 가로막는 요소 중에 사회적 고정관념이나 여성 스스로의 문제도 있지만 이는 시대의 변화와 맞물려 단기적 과제 해결의 과정 속에서 점차 해결될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지역의 발전에 여성인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첫째, 유휴 노동인력을 구체적으로 발굴하기 위한 모델지역을 선정하고 가족단위의 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조사를 근거로 여성들의 능력에 따른 수요공급 계획을 세워 파트타임 직종의 개발과 여성의 특성을 고려한 창업교육을 개발하고 확대해야 할 것이다. 둘째, 평생교육체제의 확립을 통하여 단절되지 않고 참여할 수 있도록 항상 준비되어 있는 여성을 키워야 한다.
이를 위해 공공기관과 민간기관간, 교육기관간, 여성단체간 기타 여성관련 기관간의 네트워크의 형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지식기반사회에서 여성인력의 중요성은 더 이상 논의의 대상이 아니다. 국가경쟁력의 필수일 뿐이다. 따라서 충청권의 비전과 발전은 여성인력의 적극적 개발과 활용에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