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적으로 어려웠던 과거에는 값이 싸고 영양이 풍부한 먹거리를 선호하였으나 삶의 수준이 향상 되면서 기호성과 안전성을 중시하는 경향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 특히, 안전성에 대한 인식이 과민하게 반응하여 자연중에 존재하는 미량 오염물질에 대하여 인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계없이 심리적이고 주관적인 절대적 안전식품을 요구하는 경향이다.
식품의 선택 기준은 맛이 좋고 영양과 기능이 우수하여야 하며 인체 위해성이 없어야 이상적일 것이다. 그러나 우리의 생활 주변은 새로운 환경오염물질이 지속적으로 등장하여 식품의 오염기회가 확대되고 있으며 세계 각국에서 수입되는 식품의 안전성도 문제되고 있다. 금년 2월 중국에서 수입된 인삼 제품에서 BHC 농약성분이 허용치의 40배가 초과되어 유통과정에서 적발 되는 등 위생 취약 국가로부터 유해식품 수입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1978년 번데기 오염과 1994년 수출 오이 사건 등을 비롯하여 농약의 검출 사례가 지속되고 있는데, 최근 채소류에서 농약 성분의 검출은 10%이고 잔류허용기준 초과는 1%정도 나타나고 있다.
농약성분 그 자체는 인체에 매우 유독한 물질이지만 유통 과정에서 분해가 되고 물로 씻거나 열을 가하여 조리하는 과정을 통하여 대부분 제거된다는 점에 유의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농약 유해성 때문에 과일이나 농작물의 섭취를 기피 한다면 영양분 섭취의 균형에 문제가 있고 또한 껍질을 모두 제거하고 먹는 다면 껍질 속에 함유된 각종 비타민과 미네랄 영양소를 모두 버려야 하는 고민이 있는 것이다.
한편, 건강에 대한 기대욕구가 증대되면서 건강식품, 기능성식품, 다이어트식품 등의 수요가 확대되고 이에 편승하여 허위, 과대광고 등으로 식품의 선택 기준이 매우 혼란스러운 경우가 많다.
선진국으로 가고 있는 길목에서 안전 식품의 섭취를 위한 관리제도의 확립과 생산자, 소비자 모두의 의식은 매우 중요 하다. 정부는 올해 안으로 ‘식품안전기본법’을 제정하여 식품, 식품첨가물 등의 생산, 제조, 가공, 수입, 유통, 조리, 판매 이력을 추적하여 관리하도록 함으로써 위해식품을 사전에 예방하는 정책을 펴려고 한다. 이 제도의 실천을 위해서 8개 부처에 분산된 업무를 통합 관리 한다는 것은 매우 바람직한 일이다. 요즈음 자기 이름을 걸고 지역의 특성을 살리면서 특수농법으로 재배하여 판매 되는 상품을 많이 볼 수 있다. 앞으로 많은 농산물, 식품 등에 이와 같은 생산이력제 실시가 필요하다.
자신의 건강은 평소 생활 습관이 제일 중요하다. 랩이나 플라스틱 제품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한 후 먹으면 인체에 유해한 환경호르몬 물질의 섭취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식품 안전의 기본은 환경이다. 모든 식품의 원료는 수질, 토양이나 대기환경의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가정이나 사업장에서 비료, 농약 사용의 규정 준수와 매연, 오수, 폐기물 발생을 줄여 깨끗한 환경을 만드는 것이 내가 먹는 먹거리 안전성의 첩경임을 명심하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