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한 유비쿼터스 환경을 구축하고 미래 세상을 변화시킬 대표적인 기술중의 하나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 전파식별)기술이다.
RFID는 사물을 자동으로 식별하는 기능에서는 기존에 우리가 상점에서 사용하고 있는 바코드와 유사하지만, RFID는 멀리 떨어진 장소에서도 판독기(리더기)를 통해 수십 수백개의 복수 바코드를 한 번에 읽거나 해독할 수 있기 때문에 바코드보다 훨씬 뛰어난 성능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90년대 초 중동지역에서 발발했던 걸프전에서 당시 군수품으로 공수된 3만개의 컨테이너 내용물 중에서 특정부대에 배당된 탄약과 식량을 배당하는데 평균 3~4일이 걸렸다고 한다. 하지만 10여년이 지난 이후 일어난 이라크전에서는 특정부대가 원하는 군수품을 정확히 찾는 데는 불과 몇 분의 시간밖에 걸리지 않았다고 한다. 그것은 모든 군수품에 식별소자를 부착해놓고 RFID기술을 전면적으로 도입하였기 때문에 가능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RFID기술은 군사 분야뿐만 아니라 물류, 환경, 의료, 농업 등 모든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중요 기술이다. 이제 머지않아 RFID기술이 본격적으로 실생활에 응용되면 대형할인 마트나 상점에서 쇼핑을 할 경우 줄을 설 필요가 없어지고 계산대를 지나치기만 하면 저절로 계산이 되어 자신의 신용카드로 물품대금이 청구되는 시대가 도래될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나라가 이런 분야에서 앞서기 위해서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먼저 정부와 산업계가 하나 되어 2010년을 목표로 추진 중인 광대역통합망(Broadband Convergence Network)의 보편화 시대를 조기에 열어야 한다. 광대역통합망은 유비쿼터스 환경 조성에 기반이 되기 때문이다.
앞으로 R&D 전략은 IT뿐만 아니라 나노기술(NT), 바이오 기술(BT), 우주기술(ST) 등 여타 분야의 핵심첨단기술과 융·복합화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학계, 산업계 그리고 정부연구기관의 역량을 총동원한 선택과 집중이 뒤따라야 한다.
특히 유비쿼터스 기술은 정확한 위치, 시간 등 공간정보와 센싱, 추적 및 감시 등 특정상황을 인식하는 데 유리한 기술인만큼 21세기 국방 시스템과도 연계시키는 관점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또한 물류 및 교통 문제, 교육·의료·환경 등 국가적 차원에서의 과제를 해결하는 국가 경영전략으로 자리 매김되어야 할 것이다.
초고속인터넷 강국이란 명성이 유비쿼터스 시대에도 그대로 이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산·관·학·연이 공통된 비전을 갖고 장기적인 안목으로 치밀하게 대응하지 않으면 안 된다. 미래 유비쿼터스 사회를 구축하기 위해 우리 모두가 각자의 역할에 최선을 다해 매진해야할 때라고 생각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