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결코 잊지 말 것은 선열들은 특정세력이나 이념이나 계층의 이익을 좇아 목숨을 바친 것이 아니었다는 점이다. 엊그제 노무현 대통령은 천안 독립기념관을 방문한 자리에서 “잘못된 역사도 역사이므로 가르쳐야 한다”고 말했다. 과거가 아닌 미래로 가기 위한 것 때문이라고도 했다.
물론 역사를 국수주의적으로 가르치지 않는 것은 중요하다. 그러나 그러면서도 역사 왜곡을 당당히 시정하기 위한 외교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최근 천안의 일부 사회단체에서는 독립기념관 명칭 변경을 주장하고 있다. 일제 압박이나 해방보다는 민족적 긍지를 부각시킬 명칭으로 변경하자고 한다. 개명의 당위성을 떠나, 단어 하나의 의미라도 소홀히 할 수 없는 것이다.
또한 속리산 천왕봉이 천황봉이 된 것처럼 일제 찌꺼기가 남은 국토 지명도 낱낱이 찾아 고쳐져야 한다. 일제 치하 수감자의 영어 표기를 ‘Prisoner(죄수)’가 아닌 ‘Inmate(입소자)’라 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된 것도 마찬가지다. 무엇이든 민족정기를 훼손하려던 것이면 늦었지만 시급히 복원해야 한다.
지금 일본은 자민당 전당대회 등을 통해 독도가 자국의 영토라는 망언을 거듭하고 있으며 중국은 고구려사를 중국사에 편입시키려는 허황한 동북공정의 망동을 버리지 않고 있다. 민족정체성을 찾는 일에 진보와 보수의 구별이 따로 있을 수 없다. 미래적 관점에서 올바른 역사관을 갖추지 않으면 안 되겠고 그러기 위해 역사교육 강화가 필요하다.
가령 독도가 왜 우리 땅인지를 역사적 사실에 준거해서 주장할 정도는 돼야 할 것이다. 그런데도 최근 사법시험에 이어 일련의 국가시험에서 역사과목이 제외된 것은 분명 크나큰 잘못이다. 국민통합과 남북 공존번영을 위해서도 스스로 우리 역사를 무시하거나 축소 또는 왜곡하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