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년 을유년, 대덕밸리와 지역민의 기대 속에 대덕연구개발특구의 원년이 힘찬 발걸음을 내디뎠다. 지난해 말 지역의 바람과는 달리 특구법이 국회를 통과하는데 어려움도 많았지만 12월 29일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하여 대덕연구개발특구의 선포 및 활동이 현실로 다가왔다.
특구로 지정되면 특구의 핵심사업인 연구역량의 강화, 기술의 상업화, 국제적 비즈니스환경조성이 법적, 행·재정적인 지원 하에서 다양한 세부적인 사업을 통하여 가시화될 것이다.
이 시점에서 특구가 혁신주체 및 지역경제에 어떠한 변화와 영향을 줄 것인가를 잠시 생각해 보고자 한다. 혁신주체의 경우 지식창출의 원천으로서 정부출연연구기관 및 민간연구기관, 지식의 활용 주체인 벤처기업, 그리고 특구에서 필요한 인력을 육성하고 재교육 시키는 지역대학의 역할 및 위상변화를 생각해 볼 수 있다.
대덕밸리의 정부출연연구기관들은 지난 30년 동안 국가 과학기술의 주체로서 수많은 연구성과로 국가경쟁력의 견인차역할을 수행해왔다. 예컨대, 핸드폰의 핵심인 CDMA기술개발, 전기의 40%를 공급하는 한국형원자로개발, 아리랑 위성 등등 투입대비 엄청난 결과를 쏟아냈다.
하지만 아쉬움이 남는 부분은 지식기반경제하에서 핵심기능인 지식창출기능이 산업으로 확산되고 활용되는 혁신클러스터를 형성하는 면에 있어서 취약했던 것이 사실이다. 이는 연구기관 내에 기술상용화를 목표로 산업체와 연결시키고자 하는 비즈니스 마인드의 결여와 함께 법적 제도적 제약의 문제가 가장 큰 장애 요인이었음을 잘 알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기술상용화를 위한 다양한 창구를 법적, 제도적으로 지원하는 대덕연구개발특구법은 대덕의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새로운 활력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대덕밸리 벤처기업은 90년대 중반 몇몇 연구원 출신의 창업으로 출발하여 현재 800여개가 대덕에서 활동하고 있다. 이들 벤처기업의 주된 공통점은 대덕연구단지 정부출연연구기관 및 민간연구기관 출신의 연구원 사장이 많다는 것이다. 지난 몇 년간 기술제일주의 사고로 인해 CEO로서의 어려움도 겪었지만 이제는 시장제일주의의 가치관으로 변신중에 있으며 상당수 기업이 급속한 매출성장세로 벤처의 모습을 그려가고 있다. 이 시점에서 대덕의 연구역량을 기업과 연계시키고, 기술상용화를 지원하는 다양한 연구개발활동 및 투자지원 등을 특구법을 통하여 제공한다는 사실은 벤처기업의 사업을 한단계 업드레이드 시키는 새로운 기회의 장을 제공하는 것이라 하겠다.
현재 정부에서 추진하는 ‘제2벤처 붐’의 분위기와 어우러져 지역경제의 성장동력으로서 위상하기를 기대해 본다.
대덕에는 KAIST, ICU 등 10여개의 대학이 있으며, 그 역량 또한 대단하다. 하지만 지역연구기관 및 산업체에서 산학연의 실용성과 인력확보의 어려움을 자주 토로하는 것을 보면 문제의 인식과 함께 대덕연구개발특구 출범으로 요구되는 대학의 변화방향을 짐작할 수 있다. 대학이 생각해야할 역할은 교수 연구역량을 산학연협력을 통하여 활성화시키는 것이며, 또한 특구에서 필요로 하는 중·고급기술자 및 경영인력 양성의 사명을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산학연의 창구역할을 수행하는 각 대학의 산학협력단의 위상강화 및 역할을 기대해 본다.
지역사회에서 가장 관심을 가지는 것은 대덕연구개발특구가 지역경제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올 것인가에 있을 것이다.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은 대덕밸리가 추구하고자 하는 성공한 혁신클러스터의 모습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미국 실리콘밸리, 리서치트라이앵글파크, 핀란드 울루와 같은 지역은 혁신클러스터를 통하여 지역경제가 활성화되면서 잘사는 지역, 살고 싶은 지역으로 자리 잡았다. 대덕밸리도 대덕연구개발특구의 성공적 실행을 통하여 잘살고 취직이 잘되는 지역으로 자리 잡을 것을 확신해 본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