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석우 사회부기자 |
예정지였던 연기군 남면에서 신행정수도 건설을 드러내놓고 반대해왔던 일부 중앙언론지를 찾아볼 수 없는 것도 이런 배경에서다.
국가 균형발전과 신행정수도에 대한 아무런 대안없이 수도권만을 대변하는 일부 언론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비등한 가운데 최근 연기군 비상대책위원회는 이들 신문에 대해 ‘1000만인 절독 운동’을 천명했다.
신행정수도 문제로 극명하게 드러난 지방 언론과 중앙 언론의 관점과 시각차는 몇가지 고찰해야 할 과제를 던져준다.
지역민들의 지방 언론에 대한 외면과 중앙 언론에 대한 높은 의존도에서 이러한 문제점이 나타나지 않았느냐가 그 첫 번째다.
열악한 재정구조와 취재인력·시스템 등 현재 지방 언론엔 분명히 한계가 존재한다.
그러나 지역민들 역시 이러한 한계의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지는 의문이다. 경품을 주지 않는다고, 지면수가 많지 않다고 지방 언론을 외면해오지는 않았는지. 이제껏 ‘몸’만 지방에 뒀을 뿐 ‘눈’은 항상 중앙을 바라보고 있었던 것은 아닌지 묻고 싶다.
이번 사태를 통해 충청권에 보다 강력한 지방 언론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행정수도 파수꾼’들이 왜곡보도를 일삼는 일부 보수 언론에 대한 절독운동을 벌이는 이 시점, 지방 언론에 대한 애정을 쌓는 ‘출발점’이 되길 원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지방 언론 역시 그동안 여론을 제대로 반영했는지, 지역민들이 찾는 ‘질좋은 지면’을 만들었는지 자문하고 반성해야 한다.
신행정수도 건설 중단 사태는 지역민심을 전국에 알릴 수 있는 강력한 지방 언론의 육성을 요구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
대전·충남의 지방신문 구독률은 전국 최하위를 기록하고 있다. 건강하고도 유력한 지방 언론의 존재여부는 지역의 영향력 및 낙후성과 깊은 연관이 있다.
현재 신행정수도 문제는 이러한 사실을 명백하게 보여준다. 스스로 강하거나 혹은 강력한 ‘무기’를 갖고 있지 못하면 중앙정부와 정치권으로부터 무시당할 수밖에 없다. 충청민들의 숙고와 지방 언론의 냉철한 반성이 요구되는 이유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