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능력시험에 있어서 ‘1년 1회의 점수제’ 대신 ‘1년 2회의 등급제’를 시행하겠다는 것이었다. 이 소식을 접하면서 나는 우리나라 입시제도의 응급처방 식 정책을 다시 한번 남발하는 것 같아 마음 한 구석이 씁쓸했다. 과연 그렇게 함으로써 교육당국자의 말대로 심각한 사교육문제를 해결하고 공교육을 정상화시킬 수 있을지 의문이 들었기 때문이다.
교육당국자는, 현행 입시제도 하에서 입시생들은 수학능력 시험의 소수점 이하의 점수에 의해 당락이 좌우되고, 그것 때문에 사교육이 지나치게 성행하는 것이므로, 그 악순환의 고리를 끊기 위해 새로운 수학능력시험을 입안한 것이라고 한다.
하지만 그의 주장은 하석상대(下石上臺)에 불과하다. 여러 가지 예상되는 문제점들을 충분히 검토하지 않고 불쑥 내밀어버린 임시방편적 교육 정책에 신뢰감을 가질 사람은 아무도 없다. 따라서 엊그제 발표했던 새로운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그 골격이 크게 수정되거나 폐기되지 않으면 안 된다.
문제의 핵심은 이렇다. 새로 시행될 수학능력시험에 의하면 1등급만 해도 수만 명이 배출될 터인데, 그것을 가지고 일선 대학들이 어떻게 학생들을 선발하라는 것인지 납득이 가지 않는다. 결국 각 대학별로 본고사, 혹은 본고사와 비슷한 새로운 대입 시험을 부활시킬 것이 명약관화하다.
그렇게 하지 않고는 학생을 선발하는 데 필요한 충분한 자료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일선 고등학교의 학생부가 있다지만 그것 역시 학교나 지역간의 격차가 심해 객관적 자료가 되기 어렵다.
굳이 등급제를 시행하려면 학생들 사이의 변별력을 높일 수 있도록 등급의 종류를 대폭 늘리고, 이왕이면 각 대학에게 입시 자율권을 최대한 보장하여 대학 스스로 다양한 선발 시스템을 갖추도록 유도해야 할 것이다. 나아가 국가 주도의 수학능력시험을 전면 폐지하거나 과거 예비고사처럼 자격시험 정도도 비중을 낮추는 방안도 생각해 봄직하다.
오늘날처럼 복잡다단한 사회 구조 속에서 일률적인 신입생 선발 방식으로는 특정 분야에 능력이 출중한 인재를 가려 뽑기가 여간 어렵지 않기 때문이다.
새 수학능력시험의 문제점을 보완하면서 응시생들의 능력을 종합적으로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방법 중의 하나로 논술 시험을 생각해 본다.
논술 시험은 국가적 차원에서 전국적으로 동일하게 실행하는 것은 불가능하겠지만, 적어도 대학별로 혹은 권역별로 철저히 준비하여 시행한다면 유능한 인재의 선발이라는 입시 제도의 궁극적 목적을 달성하는 데 커다란 도움이 될 것이다. 전공 분야에 따라 다소간의 차이가 있을지 모르나 논술 시험은 학생들이 지닌 단편적인 지식 이상의 고차적 능력을 평가하는 데 매우 적절한 방법이다.
각 대학들은 불과 몇 년 후로 다가온 새 수학능력시험을 보완할 방법으로 논술 시험을 적극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지 않나 싶다.
또한 논술 시험을 제대로 치러내기 위해서는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고, 새 입시제도가 시행되기까지 남아있는 시간이 넉넉하지 않다는 점도 명심해야 할 것이다.
지금 당장부터 시험 문제의 출제, 관리, 평가, 활용에 관한 연구를 시작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공정하고 객관적인 논술 시험을 위한 효율적인 시스템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