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중국 내 소수민족은 고대로부터 자국 민족이라는 것을 입증하고, 대다수 소수민족이 거주하는 변경 지역을 자국 영토로 공고히 하려는 의도가 있다. 이번 고구려사의 귀속 작업도 ‘동북공정’을 통해 중국이 해결하고자 하는 주된 문제는 한·중 간 분쟁의 여지가 있는 간도지역 영유권 문제와 이 지역에 거주하는 조선족 문제인 것이다.
이처럼 주변국들의 역사왜곡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우리는 부끄러운 반성이 선행되어야 한다. 민족적인 정체성을 키워가야 할 청소년들에게 과목의 최소화라는 명분으로 진행된 제7차교육과정 개편으로 국사를 배워야 하는 이유조차 무색해졌고, 중학생 또한 한 달에 한 시간 정도 외에는 국사를 접할 기회조차 없는 현실이 되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미 1996년 사법고시부터는 아예 국사라는 것을 찾아보기 힘들어졌고, 오는 2007년부터는 행정 및 외무고시에서도 1차 필수 과목에서마저 제외되는 등 우리의 역사는 그 수모를 일일이 열거 할 수 없을 정도다. 더욱이 이번 역사왜곡 파동의 주체인 중국의 자국사교육과 비교해 보면 비참한 실정이다.
중국은 자국사를 4대 필수과목의 하나로 지정해, 유치원에서부터 체계적인 교육을 시키는 것은 물론, 정규 교육과정에서는 중국 자국사 4권, 세계사 2권을 학습하도록 강제하고 있다. 한마디로 국사책을 보지 않아도 대학을 갈 수 있는 우리 교육과는 너무나도 대조적인 것이다. 최근 고구려가 무엇인지도 모르는 고등학생이 반마다 2~3명씩 있다는 충격적인 조사보고가 우리의 현실을 적나라하게 보여준 셈이다.
아직도 미국의 세계사 교과서는 15세기 이후 한반도 역사를 중국의 식민지사로 소개하고 있고, 한국의 고대사는 일본의 식민지사로 둔갑해 있다. 한국사를 번역한 영자서적은 여태껏 단 2권뿐이라는 믿기 어려운 사실들은 우리역사를 스스로 얼마나 홀대해 왔는가를 깨닫게 한다.
한·중·일 역사전쟁은 이제 시작일 뿐이다. 역사적 사고력 함양이나 국사에 대한 올바른 이해 없이는 대응하기 어렵다는 것을 이제는 가슴깊이 깨달아야 할 때다. 모든 나라가 나라의 정통성 정체성의 확립을 위해 국사교육을 중시하고 있음을 직시하고 이제는 정부, 국민, 정치권, 학계 등 모두가 뭉쳐야 할 때이다.
“내 목은 잘라도 국토는 축소할 수 없다”면서 단호하게 중국의 주장에 맞섰던 선조들의 항변은 이제 우리의 몫이 되었음을 잊지 말아야 할 때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