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이 끝났다. 그런데 경제를 살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여당이 과반수 의석을 확보함에 따라 그동안 경제의 발목을 잡아왔던 정치상황의 불확실성도 이제 사라질 것으로 보이는 데도 불구하고 경제를 걱정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는 아마도 민주노동당으로 대표되는 진보세력의 원내 진출에 따른 기업인들의 우려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민노당에서 주장하고 있는 노동자의 경영참여 법제화, 무상교육, 신용불량자 채무탕감 등 성장보다는 분배에, 효율보다는 형평을 중시하는 사회주의적 성향을 보이는 강경정책이 시장경제시스템의 추진력을 저해할 수 있을 것이라는 우려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서로를 인정하고 출발하면 해법은 있을 것이다. 진보세력이 원내 진출했다는 것은 이들에게도 토론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다는 의미이다.
우리는 상대를 인정하고 상대방과 타협할 줄 아는 지혜가 필요하다. 기업으로 대표되는 보수나 근로자로 대표되는 진보나 혼자만 살 수는 없다.
시대 조류는 기업가든 근로자든 서로 공생하도록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21세기의 중요한 트랜드로 나타나고 있는 세계화의 확산과 지식기반 경제 시대의 도래는 이러한 변화를 강요하고 있다.
세계화의 확산은 국경을 무너뜨리고 있다. 사람들이 국경을 넘나들었듯이 이제는 기업도 국경을 자유롭게 넘나들고 있다.
원자재 조달, 생산, 분배, 마케팅, 자금조달 등 기업의 모든 경제활동은 한 국가에 국한되지 않고 가장 좋은 조건을 제시하는 곳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우리도 일자리를 지키기 위해서는 기업들에게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한편 지식기반 경제시대의 도래는 기업이 국경을 넘나들 듯이 근로자도 기업을 자유롭게 옮겨 다닐 수 있게 만들고 있다. 이제 지식도 산업사회의 자본과 유사한 생산요소가 되었다.
지식을 소유하고 있는 근로자는 기업주와 지식을 공유하면서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하는 생산의 주체로 변모하고 있다. 따라서 기업 또한 유능한 근로자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노사관계에 대한 사고를 동반자적 협력관계로 전환해야 한다.
기업가와 근로자가 서로 자신만의 이익을 추구하던 산업사회의 병폐는 사라져야 한다. 각자는 자신의 주장을 펼치기에 앞서 상대방의 존재를 인정해야 함은 물론 상대를 설득하고 타협하는 게임의 룰을 지키는 플레이어가 되어야 한다. 국회 내의 보수진영과 진보진영도 예외가 될 수는 없다.
기업하기 좋은 여건을 만들어 실업문제를 해소하고 2만 달러 시대를 앞당기기를 바라는 국민의 한사람으로서 처음으로 진보세력이 원내 진출했다는 사실이 우려가 아닌 역사의 전기를 마련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