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봄철만 해도 주산지인 태안 근흥면 안흥항 수협 위판장에는 하루 10톤의 꽃게가 거래됐으나 올 거래량은 2 3톤에 불과하다고 한다. 어민들이 올 같은 흉어기는 처음이라고 말할 정도라면 사태가 보통 심각한 게 아니다.
서해안 꽃게가 씨가 마른 것은 서해 연안의 수온이 낮아져 꽃게의 서식환경이 나빠진데다 중국 어선의 싹쓸이 월선(越線) 조업이 극성을 부리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결국 정부가 나서야 한다는 얘기다.
바다오염, 생태계 변화 등 물고기 서식환경에 대한 정밀조사를 펴고 종합적인 '바다 살리기'에 나서야 한다. 중국 어선의 불법행위를 단속하는 것도 정부가 할 일이다. 지금 같아선 서해어장을 중국측에 고스란히 내주는 게 아닌지 걱정스럽다.
꽃게만이 아니다. 서해안 어로환경은 갈수록 나빠지고 있다. 이른바 고데구리로 불리는 소형기선제인망어선 등 불법어로가 물고기 씨를 말리고 있다. 바다 밑바닥까지 긁다시피 해서 고기의 크기와 종류를 가리지 않고 싹쓸이 하는 데 어족보호가 될 리 없다.
연근해 어장의 황폐화는 우리 수산업의 존립자체를 위협하는 수준이다. 어민들도 자발적인 어족보호에 나서는 것은 물론 불법조업 근절 등 획기적 대책이 서둘러져야 한다.
해양오염도 심각하다. 미국 환경단체인 '월드워치'가 이미 서해를 '세계의 죽어가는 7대 바다'의 하나로 진단했지만 중국의 산업발전 등으로 심각한 위기에 처했다. 유엔환경계획(UNEP)의 지난해 보고서도 서해를 죽어가는 바다로 분류했다. 연안해역은 오염물질이 퇴적돼 서서히 죽어가고 있는지 오래다.
매년 연례행사가 돼버린 적조 피해, 각종 어장과 양식장을 초토화시키는 어패류 질병과 폐사 등을 막으려면 특단의 대책이 나와야 한다. 정부가 대형 선박이나 바지선을 동원, 연중 바다청소 작업을 벌여야 한다.
연안해역의 오염은 육상에서 유입되는 오염물질이 원인이므로 이를 방지하는 강 하류의 하수처리시설 등도 크게 늘려야 한다. 더 이상의 방치는 수산정책의 포기로 보아야 할 것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