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국회는 정개법, 선거법 등 관련법을 통과시키면서 금권선거를 틀어막을 기세다. 유권자들에게 이미 '차떼기당', '밭떼기당' 등 신조어들을 양산하면서 상처를 입을 만큼 입은 정치권의 이같은 노력은 뒤늦은 감은 있지만 다행스럽다.
지난 대선 당시 천문학적 수치의 불법 정치자금이 오간 사실이 검찰 수사결과 밝혀지면서 고비용 선거에 대한 유권자들의 비난을 잠재우려는 의도도 다분히 숨겨져 있지만 변화하는 본력은 깊이 사줄만하다.
정치권의 저비용 선거문화를 정착하기 위한 응급 처방은 인력과 막대한 자금을 동원하는 정치부패 고리를 사전에 막자는 것이다. 인터넷, 지방언론·방송 등을 최대한 활용해 애초부터 돈이 안 드는 선거문화를 정착하자는 의도다.
그래서 뜨고 있는 것이 미디어전이다. 후보자들마다 미디어전에 대비하고 있다. 왜냐하면 지난 대선당시 인터넷을 활용한 유권자 공략은 아날로그 방식인 종전의 제한된 행동반경을 뛰어넘어 인터넷을 통해 유권자와 정치인의 만남을 보다 쉽고 빠르게 만들었기에 기존 선거에 대한 인식을 180도 바꿔 놓았다.
이번 총선에서도 예외는 아니다. 최근 후보자들은 선거사무실을 개설하면서 사이버 홍보팀부터 만들고 있다. 과거의 사조직을 운영할 때보다 막대한 불법선거자금을 줄이고 정치에 무관심한 20대와 30대 초반의 유권자 공략을 위해서는 인터넷 활용이 보다 효과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걱정도 앞선다. 정치권이 만들어낸 선거법,정개법 등이 실효를 거둘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때문에 한편에서는 유권자들도 인터넷이나 미디어선거전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그래야만 새 선거문화가 자리 잡을 수 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