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희진 기자 |
말 그대로 국민은 노예에 불과했다. 87년 6월 항쟁으로 되찾은 국민주권은 수많은 국민들의 피와 땀, 그리고 희생이 얻어낸 결과다. 그만큼 국민들의 ‘주인선언’은 피맺힌 투쟁의 결과인 것이다.
그러나 질곡의 역사를 뚫고 얻어낸 주인선언을 지켜내는 과정 역시 순탄지 않았다.
92년 대선부터 2002년 대선까지 수많은 선거과정에서 국민들은 주어진 권리이자 의무인 주권의 소중함을 소홀히 했다.
돈에 의해 좌우되는 선거, 북풍에 결정되는 선거, 지역주의를 벗어나지 못한 선거 등 또 다시 국민들은 공작정치 앞에 무용지물이 돼버렸다.
2004년, 국민은 또 다시 17대 총선이라는 정치실험을 눈앞에 두고 있다. 한 나라의 정치수준은 그 나라 국민들의 의식수준이라는 말이 있다.
한국민들은 가장 부패한 집단으로 정치권을 꼽고 있지만 결국 그 책임의 절반이상은 유권자에게 있다.
정치인은 물론 유권자들 역시 선거때마다 깨끗한 정치를 강조하고 있지만 변함없이 유권자들의 선택 뒤에는 어김없이 고통과 후회를 하며 애꿎은 정치인만 탓한다.
이제 유권자 스스로 구태정치와 함께 구태의연한 생각을 버려야 할 때가 왔다. 정치권이 스스로 자성하고 있는만큼 유권자 역시 정치의 주변인으로만 머물지 말고 정치개혁에 동참해야 한다.
과도기의 한국정치의 질적발전을 위해 현명한 판단과 올바른 선택을 통해 정치개혁에 나서야할 것이다.
주인선언, 결코 쉽게 얻어낸 결과가 아니란 점을 잊지 말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