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광률=대전대 신문사 상임국장 |
오늘날 우리는 지방화와 세계화를 일체화된 시각에서 통합·수용하고,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축하는 문제가 화두로 등장했다. 이는 다시 말해 다양화·다기능화·다관점화가 국가와 사회의 새로운 미래 질서로 자리잡아야 함을 뜻한다.
하지만 우리 나라의 경우 중앙 편중적인 국가구조와 주류 언론의 중앙 편중 현상 등으로 이른바 세방화(Glocalization) 구현에 있어 많은 장애 요인을 안고 있다. 언론 시장·의 쏠림 현상은 지방 신문의 ‘목소리’를 약화시켰다.
중앙과 지방의 상생은 급기야 중요한 정치적 이슈로까지 등장했다. 충청권 행정수도 이전 정책이 그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적 처방’도 실효성 있는 지방의 인프라가 구축되어야만 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지금처럼 지방의 여론과 기대가 중앙으로 향하고, 이에 따른 중앙의 ‘처분’만을 따르는 상황에서는 진정한 세방화의 구현을 이룰 수 없다.
지역의 역할과 지방 신문의 위상이 맞물려 세방화의 역량을 키우고, 시너지 효과를 증대시켜야 한다는 논의는 오래 전에 제기됐다. 그래서 지역 차원에서의 지방 신문 활성 방안이나 지역 여론 강화 방안들이 제기된 것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지방 신문 자체의 차별화와 독자성을 통해 경쟁력과 자생력을 확보하는 일이다.
우선, 지방 신문은 지역적 정체성을 더욱 강화하고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 과정에 있어 중앙 주류 언론들은 벤치마킹의 대상이 될 수 없다. 시장과 구조가 근본적으로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역의 정체성이 지역 독자들에게 유용한 가치로 작용하고, 상보적 관계 속에서 필요성을 인정받을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
특성화와 차별성 확보도 중요한 과제이다. 수용 독자층에 비해 지방 신문의 수는 많은 편이다. 이 경우 대다수의 독자들은 각각의 지방 신문을 향해 ‘왜 읽어야 하는가’라는 필연적 질문을 던질 수 있다. 이 질문에 답을 할 수 있는 ‘독자적 의미’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
다음은 취재의 대상을 보다 확대하고, 참여의 폭을 보다 넓힐 필요성이 있다. 정치건 경제건 사회건 문화건 지역민들(현 독자와 잠재독자)의 ‘실질적인 생활’ 관점에서 접근하고, 이런 접근을 통해 다양한 계층과 다양한 집단, 그리고 다양한 기업군을 수용해야 한다. 새로운 관심사의 발굴과 새로운 계층의 수용이야말로 미디어의 미래지향적 가치를 앞당겨 실현하는 길이다.
오늘날 주류 언론들은 일종의 합의된 하나의 원형속에서 움직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각기 논지와 성향만 다를 뿐 구성은 차별이 없다. 지방 신문의 경우에는 굳이 이러한 원형에 구애받을 이유가 없다고 본다. 이런 점에서 지방 신문만의 가치를 정립할만한 지방 신문만의 패러다임 부재는 오히려 지방 신문의 존립근거를 빼앗는 역작용을 낳게 된다.
변화와 내실의 바탕 위에 차별화를 모색하는 중도일보는, 향후 지역 독자들의 기대와 요구의 중심에 서서 수동적으로 읽히기를 바라는 신문이 아닌, ‘참여하는 신문’으로서의 새로운 지평을 수립하기 바란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