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적인 불황으로 자금난에 직면한 중소기업들이 속출하면서 올 들어 연체율이 가파른 상승세를 타고 있다.
수출 대기업과 정보기술(IT)업종은 호황이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이지만 내수를 기반으로 하는 중소기업들은 돈줄이 바짝 타들어가고 있어 경기 양극화의 단면을 여실히 드러내고 있다.
26일 은행권에 따르면 국내 은행 중 중소기업 대출이 가장 큰 국민은행의 중소기업 연체율은 작년 말 3.2%에서 올 2월말에는 3.8%로 올라갔다.
중소기업 지원을 전담하는 국책은행인 기업은행도 작년 말의 1.82%에서 올 2월 말에는 2.78%로 치솟았다.
기업대출 가운데 중소기업 비중이 90%인 우리은행은 같은 기간 기업 연체율이 작년 말 2.02%에서 2월 말 2.93%(중소기업 고객본부만 집계할 경우 2.7%에서 3.51%)로 올랐다. 조흥은행은 3.49%에서 4.19%로 오르며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하나은행은 1.81%에서 2.19%로 상승했고 신한은행도 1.12%에서 1.5%로 올랐다.
문제는 이른바 `분기 말 효과(각 은행이 실적 관리를 위해 연체율을 최대한 끌어내리는 것)’가 기대되는 3월 중에도 연체율이 쉽게 수그러들지 않고 있는 점이다.
은행권의 고위 관계자는 “이해하기 힘들 정도로 장기화되고 있는 내수 경기 침체의 여파로 소규모 중소기업과 소호(SOHO)기업 등이 속속 나가떨어지고 있는 실정”이라고 전하고 “올해에는 가계 대출보다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이 더 우려된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우리은행은 이달 중 중소기업 연체 채권을 2000억원 이상 매각 처리하며 하나, 국민, 조흥, 기업은행 등도 각각 200억∼1000억원의 상각 처리를 통해 인위적으로 연체율을 떨어뜨릴 방침이지만 실질적인 연체율의 상승세를 꺾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는 게 지배적인 관측이다. (연합)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