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도 한 문제 두 정답이라는 오점 아니 창피를 당하고 만 수능현실에 대입 생과 학부모들의 분노가 하늘을 찌를 정도다.
어차피 대학마다 풍토가 다르고 추구하는 바도 다르기 때문에 대학 나름대로 필요한 기준을 정하고 그에 맞는 학생을 스스로 선발해서 가르치면 될 일이다. 그런데도 지금의 현실은 교육부가 대학을 믿지 못하는 불신 때문인지 수능의 출제·감독·채점까지 독가점하고 있다.
교육부는 교육을 맡아서 할 대학들이 상품(교육정책)을 광고하고 팔도록 자율에 맡겨야한다. 다만 교육부가 교육을 총괄 감독하는 부서인 터라 대학들이 진열한 상품이 불량인지, 매점매석이 이뤄지지 않는지 정도의 공정거래에 대한 감독은 해야한다. 그런데도 어쩌자고 아무 일이나 꿰차고 나사서 뺨이나 맞으며 나라의 백년대계라는 교육을 그토록 망신시키는지 한심하다.
올 수능에서도 정답시비 문제로 분노하는 하는 학생은 치고라도 서울특별시의 한해 살림살이재원인 연간 13조6000여억원에 달하는 경제적 부담 또한 대단하다.
우리나라 교육이 결정적으로 헤어나기 힘든 수렁에 빠진 것은 ‘신자유주의’에 바탕을 둔 ‘시장 논리’에서 그 뿌리를 찾을 수 있다. 학생과 학부모는 교육수요자이고 학교와 교사는 공급자란 낮선 논리 때문이다. 초·중·고교는 그야말로 이미 시장 속으로 빠진지 오래다.
어느 학자 (마이클애플 교수)가 말한 ‘신자유주의 교육은 계급과 위계 구조를 재생산한다.
때문에 불평등 계급구조를 고착시킨다’ 말이 큰 의미를 준다.
교육은 가정에서부터 시작된다. 따라서 조상 대대로 이어온 ‘밥상머리교육’이 절실한 때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