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이 분야의 주역이 될 초·중 등 학생들에게는 귓가에 먼 메아리처럼 스쳐갈 뿐 가슴에 와 닿지 않는다.
극성스런 부모님의 등쌀에 의사나 변호사가 인생의 목표이자 전부인양 일부 공부 잘하는 학생은 생각하고 나머지 대부분은 목표 없이 물질만능 주의에 사로잡혀 살아가는 것이 현 세태이다.
현재는 과학기술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고 이에 대한 국가의 혁신적 투자가 필요한 시점이다.
과거 60년대 말로 돌아가 보자.
국민들이 먹을 것이 없어 풀죽을 쑤어 먹으며 보릿고개를 넘기기에 안간힘을 쓸 때 정부는 농경사회를 벗어나 산업사회를 이루고자 과학기술분야에 의욕적으로 투자를 했다. 월남전에서 마련한 돈으로 그때로서는 상상조차 힘든 막대한 돈을 들여 과학기술원을 짓고, 해외과학자를 모셔와 과학기술입국을 선언하였다.
곧바로 70년대 초반부터 대덕과학연구단지 조성에 들어가 그동안 과학기술이 우리나라를 농경사회에서 산업사회로의 변신을 하도록 하는 국가변혁의 동력원이 되었다. 사실 수년 전까지만 해도 대전시민은 대덕연구단지에 대한 혜택을 잊고 살았다.
그러나 대덕연구단지는 조성 된지 30년이 지난 지금 우리나라를 세계적인 과학기술국가로 만드는 초석이 되었으며, 대전시는 타 도시가 부러워하는 과학기술도시가 되었다.
이제는 산업사회에서 지식기반 사회로 진입하면서 정보화 사회가 꽃을 피우고 컴퓨터 없이는 살수 없는 사회가 되었다.
앞으로 바이오, 나노 및 유비쿼터스 혁명이 예견되면서 지금까지의 기술은 뒷전으로 밀려나 전통기술이 되고 고부가가치가 창출되는 바이오와 나노 등 신기술이 중심이 되어 첨단산업기술이 없이는 세계적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없는 과학기술 중심의 세계가 펼쳐질 것으로 예견된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국토가 좁고 자원이 빈약한 나라는 과학기술만이 국가의 성장을 주도할 수 있는 중요한 경쟁력의 기반이 될 것이다.
정부는 과학기술분야에 전폭적이고 지속적인 투자를 아끼지 말아야 한다. 70년대에 중화학기술을 중심으로 연구시설에 집중 투자를 했다면 지금은 미래 첨단인력을 양성 할 수 있는 교육계, 특히 초·중등의 과학기술 인재양성에 집중 투자해야 할 것이다.
산학협력을 강화하여 연구시설을 공동 활용화가 되어야 하고 교수·학생 등 연구인력의 참여가 유도되어야 하고, 연구비 및 연구시설장비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와 인력의 겸직활성화 및 재교육 기회 등이 요구된다. 직무발명에 대한 지적재산권을 보호되어야 하고 나아가 산업화를 실현시킬 수 있는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생활 과학기술 역량을 제고 할 수 있도록 과학기술의 대중화, 시민이 참여하는 합리적이고 창의적인 과학기술문화 조성이 시급하다. 또 초등 분야에 과학전담 교사를 집중 배치하고, 중등교육에 과학교과를 강화하며 이공계 대학 교육비를 대폭 경감시켜야 한다.
특히 사회적 선호분야인 법조, 정치, 의학 분야에 과학기술 인력이 상호 보완적으로 진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도적으로 마련해야 한다.
고등학교에서의 이과계 선택이 완전한 인생의 진로 결정이 아니라 이공계 출신도 정치, 법조인이 될 수 있는 사회적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