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10·29 부동산 안정대책 발표에 이어 전통적인 겨울철 비수기를 맞아 부동산 시장이 그게 위축되고 있는 상황에서 신행정수도 이전마저 불투명해질 경우 장기침체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일부에서는 벌써부터 ‘행정수도 이전이 아예 물건너 간 것 아니냐’는 분위기 까지 형성되고 있어, 이 여파가 부동산 시장에 미칠 경우 갑작스런 거품붕괴를 불러와 사회문제등 또다른 부작용을 불러 올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23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이번 특위 구성안 부결로 인해 신행정수도 이전에 대한 전망이 불투명해지자, 업계에서는 향후 추이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주택분양업체 관계자는 “1O·29 대책 발표이후 한파를 겪고 있는 상황에서도 지역 부동산 시장은 행정수도 이전이라는 호재로 성장 잠재력이 컷다”면서 “그러나 국가적인 행정수도 이전사업이 정치적인 이해관계로 첫 단추부터 어그러져 부동산 업계의 충격은 어느 곳 보다 크다”고 말했다.
대전지역은 지난해 말 대통령 선거이후 1년도 안돼 아파트 값이 2억원 이상 오르고 신규 분양사장에서의 과열 청약경쟁, 땅값 상승 등 이상 거품현상이 빚어졌다.
이같은 과열양상은 당국의 강력한 투기행위 단속이 이어지면서 아파트 가격 하락, 거래 실종, 분양시장에서의 저조한 실계약률등 ‘10·29 한파’가 확산되고 있다.
문제는 이같은 상황속에서도 그나마 부동산경기를 지탱해 주었던 행정수도이전이라는 호재가 ‘악재’로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이다.
둔산지역 부동산 관계자는 “수도이전에 대한 기대감이 사라질 경우 막차를 탄 사람이나 자금력이 풍부하지 못한 일반 투자자들의 피해는 엄청날 것”이리며 “이는 곧 개인파산자 속출 등 사회적인 문제로 비화될 가능성이 커 정부가 시급히 파장해소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재헌 기자 jaeheonc@joongdo.com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