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부는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활력을 높이기 위해 규자자유특구 실증 사업을 예정대로 착수하기로 했으며, 3차 규제자유특구 지정도 6월 추가로 진행할 방침이다.
이에 대전시도 바이오메디컬 규제자유특구 실증화 작업과 광대역 5G 사물인터넷(IoT) 서비스의 3차 지정을 위한 준비에 나서고 있다.
31일 대전시에 따르면 시는 중소벤처기업부 지정 2차 규제자유특구로 선정된 이후 실증특례 사업으로 부여받은 '인체유래물은행 공동운영'을 위한 특구사업자 간 협력사업을 진행 중이다. 인체유래물이란 인체로부터 수집하거나 채취한 조직·세포·혈액 등의 인체 구성물 또는 이들로부터 분리된 혈청, 혈장, 염색체 등이다. 최근 충남대병원, 건양대병원, 을지대병원과 인체유래물은행을 공동으로 관리·운영하는 협약을 완료한 상태로 시는 공동운영을 위한 시스템 구축에 돌입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코로나19로 인해 공동운영자인 지역 병원들은 현재 감염병 대응 업무에 힘을 쏟고 있다. 인체유래물은행의 경우 신속한 검체확보를 최우선 목표로 하고 있기 때문에 각 병원들이 보유하고 있는 검체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선행돼야 한다.
스마트 웰니스 규제자유특구를 진행하는 대구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사업을 연장하기로 했다. 대전시도 병원과의 협력관계가 중요해 사업 차질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시는 코로나19로 인한 실증기간 연장 등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관련기관들과 최대한 조율해 나가고 있다.
이와 함께 6월로 예정된 3차 규제자유특구 지정도 철저히 준비하고 있다. 특구사업대상은 신산업분야로, 해당분야 전문가, 연구기관, 관계부처 등과의 대면회의 사실상 필수적이다. 이에 대한 준비가 요구된다.
현재 대전시를 비롯해 11개 지자체에서 15개 사업이 3차 특구 지정을 희망하고 있어 어느때보다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 시는 3차 특구 지정을 위해 광대역 5세대 이동통신(5G) 사물인터넷(IoT) 서비스를 예비특구계획으로 마련해 놓은 상태다. 시는 특구 지정을 통해 대덕특구를 비롯해 출연연 연구기관 등 지역 인프라를 최대로 활용한 사물인터넷 테스트 베드 구축을 계획하고 있다.
앞서 시는 오픈랩을 구축하고 대덕특구 연구기관과 지능형 사물인터넷 모듈 개발에 돌입하는 등 특구 관련 실증화 기반도 확보해 놓은 상태다.
대전시는 "정부가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경제 침체를 극복하기 위해 규제자유특구 사업의 차질없는 추진을 강조하고 있다"면서 "코로나19 로 관련 기관들이 어려운 상황이지만, 최대한 차질없이 추진할 수 있도록 하겠다. 이와함께 3차 지정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