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집값 상승률 1위 세종… 상승세 언제까지 이어질까

  • 경제/과학
  • 건설/부동산

전국 집값 상승률 1위 세종… 상승세 언제까지 이어질까

지난해 11월부터 상승 전환… 지속 상승
올해 2월에는 전국 집값 상승률 '대전' 역전
부동산업계 "인구 증가에 비해 공급 부족… 지속될 것"

  • 승인 2020-03-22 13:39
  • 신문게재 2020-03-23 7면
  • 김성현 기자김성현 기자
2020022001001847500082251
세종의 집값 상승률이 거침없다.

2017년 투기지역·투기과열지구로 묶인 뒤 하락하던 세종의 집값은 지난해 11월부터 상승하기 시작하더니 올해 2월에는 전국 집값 상승률 1위를 기록하던 대전을 역전했다. 현재는 5주 연속 집값 상승률 1위에 이름을 올리며 지속적인 상승세를 타고 있다.

부동산 업계에서는 상승 원인으로 공급량 감소와 대전 부동산 시장의 여파를 꼽으면서 세종의 상승세가 한동안 지속될 것으로 예측했다.

22일 한국감정원(원장 김학규)에 따르면, 2020년 3월 3주(3.16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세종의 아파트 매매가는 1% 상승하면서 전국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세종은 지난 2017년 투기지역 투기과열지구로 묶인 뒤 하락세를 이어왔으나, 지난해 11월부터 상승 전환되면서 현재까지 지속 상승하고 있다.

이 같은 거침없는 상승세에 전국 아파트 매매가 상승률 1위를 기록해오던 대전을 역전하기도 했다.

'2020년 1월 전국주택가격동향 조사' 자료를 살펴보면 세종의 경우 지난해 12월 0.83%에서 올해 1월 1.84%로 두 배 이상 상승해 1.26%를 기록한 대전의 상승률을 역전했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세종의 집값 상승률이 바닥을 치면서 지역 주민들이 규제 해제를 세종시에 공식 건의하기도 했었지만, 이 같은 건의가 무색해질 정도로 집값이 대폭 상승한 것이다.

부동산 업계에서는 세종의 상승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인구 증가율에 비해 공급량이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 2014년 1만 7200가구, 2015년 1만5610가구, 2017년 1만4268가구가 공급될 정도로 물량이 넘쳤던 세종은 올해 5600가구만 공급되는 등 공급량이 감소하고 있다.

또 대전의 상승세가 지속됨에 따라 대전의 상승세가 한풀 꺾이지 않는 이상 세종 또한 지속 상승할 것으로 분석했다.

지역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인구 증가율보다 공급량이 부족해지면서 집값 상승이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또 대전의 집값 상승의 여파로 가장 근접한 세종의 집값이 덩달아 오르고 있는 것으로도 보인다"며 "대전의 집값 상승 기세가 꺾이지 않고 있고, 세종 수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하기 때문에 집값 상승은 한동안 이어질 것으로 예측된다"고 말했다.
김성현 기자 larczard@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식장산 정상에 커피·라면 판매점… 관광 vs 상업화 평가 엇갈려
  2. 막 오른 4·2 재보궐, 탄핵정국 속 충청권 표심은?
  3. [설 연휴 사건사고] 천안서 채무 문제로 흉기 살인…폭설에 충청권 곳곳 교통사고 (종합)
  4. 국세청, 2025년 신규 세무사 700명 뽑는다
  5. '청년과 귀어인' 맞춤형 양식장 임대사업자 모집
  1. 해수부, 2024년 정부업무평가 '3개 부문' 우수기관 선정
  2. 대전보건환경연, 꿀벌 질병 예방교육 및 약품 지원
  3. “경제 살려달라” 매서웠던 설 민심 … 조기대선 대치도
  4. 현장체험학습이 두려운 교사들… '학교안전법' 개정 목소리 커져
  5. 해수부, '국고여객선' 현대화 추진...수산 유통펀드사 공모

헤드라인 뉴스


[기획] 2. 행복도시 시발점 `1~2생활권`… 미완의 과제는

[기획] 2. 행복도시 시발점 '1~2생활권'… 미완의 과제는

세종시 행복도시는 2025년 또 어떤 밑그림을 그리며 2030년 완성기로 나아갈까. 큰 틀의 도화지는 명실상부한 행정수도 건설에 있고, 그 안에 내용과 색채를 넣는 시간으로 승화해야 한다. 다시 말하면, 2027년 대통령 집무실과 2031년 국회 세종의사당부터 수도 지위에 걸맞은 위상을 갖춰 들어서야 한다. 그리고 이를 뒷받침할 도시 기능과 요소들이 적기에 지연 없이 제자리를 찾아야 한다. 그렇지 않고선 2004년 행정수도 위헌 판결 이후 20여 년의 세월이 무위로 돌아갈 수 있다. 국가균형발전과 수도권 과밀 해소를 가리키는 시계추..

대전 지난해 오피스 임대료 오르고, 상가 임대료 하락
대전 지난해 오피스 임대료 오르고, 상가 임대료 하락

지난해 대전 오피스 시장은 임대료가 오르고, 상가는 임대료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충남과 충북은 오피스 시장과 상가가 모두 하락했으며, 세종은 전국에서 집합상가 하락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31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2024년 4분기 상업용 부동산 임대동향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의 오피스 임대가격지수는 전년 대비 3.22% 상승했다. 임대가격지수는 시장 임대료 변동을 나타내는 수치다. 세부적으로 보면, 서울은 4.78% 오르면서 전국에서 가장 높은 상승세를 보였고, 경기(2.60%), 대구(0.53%), 대전(0...

지난해 충청권 의치한약대 정시 등록포기 526명… 올해는 더 늘 듯
지난해 충청권 의치한약대 정시 등록포기 526명… 올해는 더 늘 듯

2024학년도 대입 정시에서 충청권 메디컬학과(의대, 치대, 한의대, 약대) 합격자 중 526명(163.9%)이 최종등록을 포기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집정원이 늘어난 2025학년도엔 중복합격자 증가와 등록 포기로 인한 추가합격 인원이 더 크게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30일 종로학원 분석에 따르면 2024학년도 정시 전국 의·치·한·약대 합격자 중 최종 등록포기는 3367명으로 모집정원 대비 136.4%를 나타냈다. 사실상 최초합격자 전원이 타 대학 중복합격으로 이탈했고, 추가합격자 중에서도 중복합격으로 인한 연쇄적 이탈이 발생했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추위 실감케 하는 고드름 추위 실감케 하는 고드름

  • 고향의 정 새기며…‘다시 일상으로’ 고향의 정 새기며…‘다시 일상으로’

  • 잊혀져가는 공중전화의 추억 잊혀져가는 공중전화의 추억

  • 명절 연휴 고속도로의 유용한 정보들 명절 연휴 고속도로의 유용한 정보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