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17일 오후 충남 공주대학교에서 '지방자치단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 충청권 간담회가 열리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
국가균형발전특별법 통과로 새롭게 도약을 준비하고 있는 대전과 충남은 이번 충청권 대학과의 연계를 통해 수도권에 대응할 메갈로폴리스 구축의 신호탄이 될지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11일 대전 대학가에 따르면 대전·세종·충남 지자체 및 대학들은 혁신플랫폼사업을 위한 실무협의회를 열고 바이오 기반 산업을 중심으로 한 각 지역 주요 혁신사업을 핵심 분야로 선정했다.
대전·세종·충남 지자체들은 지역거점대학인 충남대를 중심으로 인근 광역시도 간 또는 광역시 간 통합인 복수형으로 참여를 준비하고 있다. 이와 함께 충북도 참여 여부도 논의 중이다.
지역혁신플랫폼은 교육부가 인구감소 등으로 위기에 놓인 지방을 위해 추진하는 일종의 국가균형발전 사업으로 대학이 지역혁신 주체로 위치를 정립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지자체가 각 지역마다 특화하고자 하는 전략 산업을 결정하면, 대학 측은 이에 걸맞은 인재를 양성하고자 지역 연구소와 일자리를 만들거나 대학 간 공동학위 과정을 개설하고 학사구조, 교육과정을 개편하는 등 교육혁신을 이룬다는 내용이 골자다.
지난달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주재로 충청권 현장간담회가 열렸으며, 내달 사업계획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대학이 인력양성의 산실로서 지역 혁신을 수행해낼 수 있다는 점에서 대전 대학들은 지난해 초부터 사업 참여에 계속해서 관심을 가져왔다.
중심대학인 충남대 주도로 진행해온 가운데 우려가 컸던 충남대 총장 임기 공백 사태도 지난달 말 해결되면서 사업 추진에 동력을 얻어 지역 대학가에서도 기대감이 크다.
앞서 통과된 혁신도시법과 국가균형발전특별법에 이어 이번 사업이 유치되면 충청권 우수 인재들의 역외유출을 막고 대학은 물론 지역 경쟁력을 키울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영석 충남대 기획처장은 "기존의 고정적인 틀을 가진 학과에서는 빠르게 변화하는 기술을 교육하기가 쉽지 않아 문제로 대두됐다"며 "이번 사업으로 대학 교육이 변화하는 기술에 즉각 대응할 수 있도록 체제를 바꾸고 전공을 융합·신설할 수 있는 기회라고 보고 사업 유치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유진 기자 brightbbyo@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