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도일보 여론조사] 대전서을 전통적 정당지지 프레임 깨졌다…중도층 흡수 '관건'

  • 사회/교육

[중도일보 여론조사] 대전서을 전통적 정당지지 프레임 깨졌다…중도층 흡수 '관건'

30대 한국 40대 민주 지지높아 50대 한국 60대 이상 민주
"충청 정당 필요" 文정부 충청홀대 현안부진 등 탓 勢확장 요구거세

  • 승인 2020-01-02 00:00
  • 신문게재 2020-01-02 3면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정당지지율
정당지지
금강벨트 최대 도시 정치1번지인 대전 서구을에서 젊은층 민주당 고령층 한국당 선호라는 전통적 정당 지지율 프레임이 깨진 것이 눈에 띈다.

또 충청 지역 정당 출현 요구가 50%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나 차기 총선을 변곡점으로 지역 정치 세(勢) 확장에 대한 충청인들의 바람이 표출된 것으로 풀이된다.

중도일보 신년 여론조사에 따르면 연령별로 지지정당 선택이 확연하게 엇갈리면서 중도층과 부동층 흡수 여부가 총선 승패를 좌우하는 최대 승부처가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30~40대 표심 변화가 두드러진다. 40대 연령층에서 민주당 지지율은 48.5%로 한국당 지지율인 28.7%보다 19.8%p 높게 나타났다.



30대는 '한국당' 쪽으로 기울었다. 30대 한국당 지지율은 41.2%로 조사됐다. 민주당은 37.6%로 양 정당 간 3.6%p 격차를 보였다. 50대는 '한국당'이 40.8%로 민주당 34%보다 6.8%p 높았다. 60대 이상에선 '박빙'이다. 민주당 43.1%, 한국당 41.2%로, 1.9%p 차이로 접전을 이어갔다.

19세부터 29세까지 젊은 층은 당연 '민주당' 지지율이 압승을 거뒀다. 이 연령층에서 민주당은 45.9%로 압도적 지지율을 보였다. 한국당은 20.2%로 절반이 채 안 됐다.

다만 서구을 지역별로는 민주당이 한국당에 모두 앞섰다. 용문·탄방·갈마1·2동은 민주당이 42.7%로 한국당(35.2%)보다 7.5%p 높았다. 둔산 1·2·3동은 민주당이 38.6%로 한국당(35.4%)과 3.2%p로 앞섰다. 월평1·2·3동과 만년동은 민주당이 45.4%로 한국당(30.5%)보다 14.9%p 높은 수치를 보였다.

'충청권을 대변하는 지역정당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대해선 '매우 그렇다' 31.2%, '그렇다' 18.7%, '보통' 20.6%, '그렇지 않다' 14.6%, '매우 그렇지 않다' 10.7%, '잘 모르겠다' 4.2%로 조사됐다. 이처럼 지역정당 출현에 대한 기대감이 높은 이유는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고위직 인사 등에서 충청권 홀대 현상이 심화된 것과 무관치 않다는 지적이다. 혁신도시와 세종의사당 등 지역현안이 중앙 무대에서 우선순위에서 밀리며 지지부진한 것도 충청 정치세력화에 필요성 여론에 기름을 부은 것으로 보인다.
방원기 기자 bang@
서구을여론조사개요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둔산 리빌딩’…대전 둔산 1·2지구, 재건축 움직임 본격 시동
  2. 대전 치매환자 등록률 46% 전국광역시 '최저'…돌봄부담 여전히 가족에게
  3. '산불 복구비 108억, 회복은 최소 20년'…대전·홍성 2년째 복구작업
  4. 아이 받아줄 사람 없어 '자율 귀가'… 맞벌이 학부모 딜레마
  5. 4월부터 우유, 맥주, 라면 등 '줄인상'
  1. [홍석환의 3분 경영] 간직된다는 것
  2. ‘어떤 나무를 심을까?’
  3. 대전 서구 도마변동13구역, 우여곡절 끝 사업시행계획 총회 통과
  4. [한성일이 만난 사람]안동욱 (주)미소정보기술 대표
  5. [독자칼럼]대한민국의 경제위기 극복방안

헤드라인 뉴스


[기획] 지천댐, 갈등 넘어 상생의 댐으로-(상) 지천댐 필요성

[기획] 지천댐, 갈등 넘어 상생의 댐으로-(상) 지천댐 필요성

충남 청양 지천댐 건설을 두고 충남도와 반대 주민들이 이견을 보이며, 진척 없이 갈등만 깊어지고 있다. 도는 충남의 미래 100년을 책임질 건설 프로젝트라며 필수 사업이라고 주장하는 반면, 반대 주민들은 지천의 환경 파괴뿐 아니라,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이 발생하는 등 주민들에게 악영향을 주는 사업이라고 거세게 반발한다. 소득 없는 줄다리기로 도의 행정력은 소비되고, 주민 불신만 커지고 있는 상황. 지천댐 건설 여부를 명확히 가리기 위해선 댐 건설의 필요성, 양측 주장에 대한 정확한 사실관계 확인이 필요하다. 이..

케이크 가격 4만원대?... 생일 초 불기도 부담되네
케이크 가격 4만원대?... 생일 초 불기도 부담되네

소비자 물가가 고공행진하고 있다. 식품·외식업계 가격 인상이 계속되면서 케이크 가격도 4만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월 31일 해당 업계에 따르면, 투썸플레이스는 최근 커피와 음료, 케이크 가격을 올렸다. 케이크 가격은 2000원 올리고 조각 케이크는 400원 인상했다. 이에 따라 스트로베리 초콜릿 생크림(스초생)은 3만 7000원에서 3만 9000원이 됐다. 스초생 2단 제품은 4만 8000원이다. 딸기 생크림은 3만 6000원이고 클래식 가토 쇼콜라 가격은 4만원이다. 조각 케이크는 생딸기 우유 생크림은 9500원으로 1..

대전시, 자전거고속道 구축 필요성 고개…단절구간 많아 교통분담 제자리
대전시, 자전거고속道 구축 필요성 고개…단절구간 많아 교통분담 제자리

탄소 중립을 위한 대표적 교통수단인 자전거 이용을 높이기 위해 대전시가 '자전거 고속도로망' 구축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10년간 자전거 도로는 크게 증가했지만, 단절 구간이 많아 교통 분담률이 크게 늘지 않았는데 이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31일 대전세종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대전시 자전거 고속도로 도입을 위한 기본구상 연구' 보고서를 보면 대전의 자전거도로 총연장은 2023년 기준 937㎞로 2010년 586.9㎞ 보다 60% 가까이 증가했다. 하지만, 자전거 분담률은 1.85%(2021년 기준)로 여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3색의 봄 3색의 봄

  • ‘안 오르는 게 없네’…라면, 우유, 맥주 4월부터 인상 ‘안 오르는 게 없네’…라면, 우유, 맥주 4월부터 인상

  • 꽃샘추위 이겨낸 야구 열기…한화생명 볼파크 세 번째 매진 꽃샘추위 이겨낸 야구 열기…한화생명 볼파크 세 번째 매진

  • ‘어떤 나무를 심을까?’ ‘어떤 나무를 심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