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차원에서 지난 10월에는 탈(脫)석탄 기후변화 대응 국제 콘퍼런스를 열기도 했다. 이미 2015년 동아시아 7개 지방정부와 기후변화 공동대응 선언문을 채택하고 '기후비상상황'을 선포했다. 지자체가 생태계, 자연재해, 해안침식 등 기후변화 양태를 맨 앞에서 체감한다는 인식은 사실 모든 지역에서 요구된다. 해외 혁신사례 도입과 그 지역에 적합한 대책을 찾는 도시 리더십이 필요한 시점이다.
경남도 등 지역 환경단체들이 지자체 참여를 촉구하고 나선 배경에도 충남도가 있었다. 2050 탄소 배출 제로화 선언 등이 자극이 됐다. 이제 적응을 넘어선 위험관리 수준으로 접근할 단계가 됐다. 기후변화 위험요소 회피에서 더 나아가 미래 대응 방안까지 모색해야 한다. 제2차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 등을 통한 정부와 지자체 간 공유엔 아쉬운 부분이 있었다. 기후변화에 관할구역이 따로 없다는 생각을 바탕으로 지자체가 일차적 주체가 돼야 바람직하다.
충남도가 기후비상상황을 선포한 것은 막연한 추측 아닌 과학적 데이터에 근거한다. 충남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의 미래예측 시나리오가 그 배경이다. 2050년 서해 침수 면적이 동·남해의 20배 이상이라는 예측은 그 같은 분석의 하나다. 물론 기후변화 대응 잠재력만큼 한계가 있는 것이 지자체의 역할이다. 정치경제적 갈등 요인이 될 때는 특히 그렇다. 기후변화 대응 주체인 지자체에 정부가 힘을 실어줘야 한다. 그래야 지역주민과 지방정부가 참여하는 거버넌스 중심의 정책도 수월해질 것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