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하굿둑을 중심으로 녹조류가 낀 금강호 모습(왼쪽)과 만조에 하구둣까지 수위가 올라온 바닷물 모습. (사진=대전충남녹색연합 제공) |
1. 금강하구 수질 해양생태계에 직결
2. 지자체간 갈등, 정부는 칸막이 행정
3. 주목받는 국내외 하굿둑 개방실험
4. 물관리 일원화 금강에서 실현해야
금강하구의 악화된 수질과 불규칙한 방류가 서천과 군산 해양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된 가운데 이 같은 환경현안을 정부와 지자체가 함께 논의하는 협의체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다.
특히, 지난 4년간 연구를 통해 완성하고도 예산이 없어 사장된 금강하구종합관리시스템을 관계 기관이 함께 운용함으로써 갈등과 대립관계를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해양수산부가 2015년 개발을 의뢰해 지난 4월 완료된 연구에 따르면 독성을 지닌 마이크로시스틴이 금강호 방류수에서 검출돼 인접 해양생물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게 확인됐다.
마이크로시스틴의 독성은 해양생태계 구성생물 체내에 농축될 수 있고, 대형저서동물 출현 종수는 금강하구 입구에서 적게 출현하고 외해로 갈수록 많아지는 경향을 보이는 등 하굿둑이 주변 해역에 상당한 영향일 끼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금강하구 담수호의 수질 오염에 따른 하구해역에 영향은 서천과 군산을 비롯한 충남과 전북의 환경현안으로 공동조사가 요구된다.
또 같은 연구개발사업을 통해 금강하구종합관리시스템을 완성했으나 정책으로 입안되지 못하고 사장되고 있다.
종합관리시스템은 금강 상류에서 강수량이나 오염물질 유입 등에 따른 하구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모델 시스템으로 여러 기상데이터를 모아 날씨를 예측하는 것과 같은 원리다.
농공업 용수를 확보하면서 하구해역에는 영향을 적게 미치는 최적의 하굿둑 운용 체계를 찾기 위해 개발됐다.
낙동강하굿둑의 경우 종합관리시스템의 예측 모델에 신뢰도를 확인하는 시험개방이 환경부 주관으로 두 차례 진행된 바 있다.
금강하굿둑에서는 예측 모델까지 완성하고도 정부의 무관심으로 실증을 이끌 주무 부처가 없는 실정이다.
정부가 추진 중인 물관리 일원화도 금강하구 수질과 운영체계에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금강유역의 지자체와 기관이 제각각 운영하던 물관리 정책을 일원화함으로써 금강호에 수질개선을 유도하고 기수구역이라는 통합적 관점에서 접근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김영일 충남연구원 연구위원은 "금강이라는 유역공간을 기반으로 다양한 이해당사자간의 의견을 조율할 의사결정시스템이 우선 필요하다"라며 "백제보와 금강하굿둑의 연계를 위해 환경부와 농림축산식품부, 충남도, 전북도 등이 함께 참여해야 한다"라고 설명했다.
세종=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