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석탄을 연료로 대량 사용하고 있는 당진화력과 현대제철이 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현대제철 당진공장은 포스코와 함께 일괄생산체제를 갖춘 제철소로써 당진철강단지의 선도적인 기업이다.
지난 4월 22일 감사원의 '산업시설 대기오염물질 배출관리 실태' 보고서에서 시안화수소(청산가리)가 기준치(3ppm)의 5.6배가 넘는 배출에도 불구하고 현대제철은 이를 1년 8개월간 은폐한 사실이 밝혀졌다.
이어 지난 2014년 9월 2번 소결로 흡착탑 내부에 '핫스폿'(과열점)이 생겨 보수공사를 실시한 이후 1번, 3번 소결로의 흡착탑까지 고장이 났다.
그런데도 지난 5년동안 이를 수리하지 않고 운행해 왔다는 의혹을 받고 있으며 지난 2013년 1만1230t이던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이 지난 2016년 이후 2만3477t으로 2배 가까이 치솟았는데 그대로 방치해 왔다.
더욱이 지난 2017년 2월 충남도와 시, 현대제철 등은 '5,300억원을 투자해 당진공장 대기오염물질을 지난 2016년 대비 40% 줄이기로 했다'는 미세먼지 감축협약을 발표했다.
그러나 4600억원은 고장 난 흡착탑 교체 비용이란 핵심 내용은 빠져 있어 이는 의도적으로 미세먼지 감축수단으로 활용하려했다는 의심을 받고 있으며 충남도는 오염물질이 초과 배출되고 있는 것을 알면서도 지금까지 수수방관해 왔으며 감축협약을 발표하면서도 이를 묵인했다는 오해를 받고 있다.
지난 2월 외주 노동자 이재복 씨가 컨베어 벨트에 사망함으로써 위험의 외주화, 안전불감증이라는 비난을 받고 있으며 이와같이 현대제철은 복합적인 환경안전사고가 연이어 발생함에 따라서 시민단체의 거센 저항을 받고 있고 형사고발까지 당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현대제철은 "빠른 문제 해결을 위해 최선을 다했으나 개보수 작업이 정상적으로 원활하게 추진되지 않아 교체라는 결정을 내리는데 많은 시간이 경과했다"며 "교체 기간에는 배출량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저질소탄 투입, 생산량 조절, 설비 추가 등의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제철공장은 소결공장이 중단돼 장기간 원료를 공급하지 못할 경우 용광로를 폐기하고 재건설해야 하는 큰 위험에 봉착할 수 있어 개보수나 교체작업에 신중을 기할 수밖에 없는 특성을 걎고 있다.
그래서 충남도에 설비 재건설 기간중 행정처분 유예를 신청하고 소결공장을 계속 가동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한편, 현대제철은 "지난 2017년 7월 외부 진단 결과를 충남도에 보고하고, 흡착탑 1·2번을 올해 6월30일까지 새로운 방식의 탈질·탈황 설비 '에스시아르'(SCR)로 교체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3번 흡착탑은 지난 해 10월 철거를 시작해 2020년 10월까지 교체를 끝내겠으며 3개 공사 비용은 총 4326억 원이 들어간다"고 밝혔다.
오는 2020년부터 전세계 각국들이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수립, 이를 의무적으로 이행토록 하는 새로운 기후변화협정이 개막됐고 지난 2017년 9월 26일 문재인 정부은 '오는 2022년까지 (임기내) 국내 배출량 30% 이상 감축하고 나쁨일수 70% 줄인다는 '미세먼지 관리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서 '탈 석탄, 탈원전' 계획이 수립됐고 유명무실화 된 환경규제가 본격적인 강제력을 발휘하게 됐다.
현대제철도 이젠 더 이상 환경규제는 어길 수 없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환경문제가 경제성장을 저해하는 비용이 아니라 경제성장 동력으로 활용해 나가는 용기와 지혜를 가져야 할 때이다.
따라서 현대제철은 과거 환경안전사고를 밑거름으로 해서 지속적인 발전기틀을 마련해 더 이상 환경안전사고가 반복되지 않는 친환경기업으로 다시 태어나야 할 것이다. 당진=박승군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