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0 장애인의 날]저상버스·장애인 콜택시도 눈치... 여전히 외면받는 이동권

  • 사회/교육
  • 이슈&화제

[4·20 장애인의 날]저상버스·장애인 콜택시도 눈치... 여전히 외면받는 이동권

  • 승인 2019-04-18 16:36
  • 신문게재 2019-04-19 1면
  • 박은환 기자박은환 기자
KakaoTalk_20190418_151213822
저상버스 리프트 모습. 사진=박은환 기자
"장애인 이동권 지켜주세요."

전동휠체어를 타고 다니는 이영구(지체장애 1급·50) 씨의 외침이다. 18일 중구의 한 복지관에서 만난 이영구 씨는 장애인의 생명과 직결되는 이동권을 5년 전부터 자조 모임을 통해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영구 씨는 몇 달 전 겪었던 창피함을 아직도 잊지 못하고 있다. 저녁 늦게 병원에서 진료를 받고 귀가하는 도중 저상버스를 이용하다가 버스 기사로부터 모욕적인 언행을 들었기 때문이다.

그는 "버스 기사가 바쁘고 붐비는 시간에 늦은 시간에 뭣 하러 나왔느냐고 짜증을 내더라"며 "저상버스는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를 위해 도입된 부분인데, 저상버스 기사가 짜증을 냈다. 우리가 죄지은 사람처럼 눈치를 보고 따가운 시선을 받아야 하는지 모르겠다"고 하소연했다.



이를 겪은 후 이영구 씨는 장애인 콜택시를 이용하지만, 그것마저 눈치가 보여 웬만한 거리는 전동휠체어로 이동한다. 이씨가 사는 곳은 중촌동이지만, 관저동까지 전동휠체어를 타고 가봤다. 눈이 오거나, 비가 와도 안전모나 보호대 없이 안전에 의지할 수 있는 건 전동 휠체어에 고정된 벨트뿐이다.

이영구 씨는 전동휠체어에 대한 시민의 인식도 거론했다.

그는 "전동휠체어는 법으로 인도로 다니게 돼 있다. 그러나 인도 위 불법주차, 인도 위 울퉁불퉁한 경사로 인해 차도로 내몰리고 있는 상황"이라며 "차도로 다니다 보면 생명권이 위협받는 아찔한 상황의 연속"이라고 했다.

또 "이동권은 생명권과 직결돼 소중하고 당연한 누구나 누릴 수 있는 권리다. 그러나 아직 우리 사회에선 장애인과 비장애인 이동권의 괴리는 멀기만 하다”며 “장애인도 비장애인처럼 좀 더 빠르고, 편안하게 누릴 수 있는 사회가 됐으면 좋겠다"고 소망했다.

20일은 39회째 맞는 장애인의 날이다.

장애인의 날은 장애인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장애인의 재활 의욕을 고취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정된 날이지만, 장애인들도 당연히 누려야 할 이동권이 제대로 된 보장이 없는 장애인에겐 슬픈 날이기도 하다.

저상버스는 장애인, 노약자 등이 편리하게 오를 수 있도록 계단을 없애고 차체 바닥이 낮고 경사판이 설치된 버스다. 그러나 따가운 시선과 혼자 힘으론 오를 수 없는 저상버스 리프트 등 녹록지 않은 현실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2005년 저상버스를 도입하고, 48개 노선에 284대를 운행 중”이라며 “올해 11대를 확충할 예정이다. 5대는 이미 도입했고, 나머지 6대는 하반기에 계획 중”이라고 말했다.

대전장애인철폐 공동투쟁단 관계자는 "이동권은 복지가 아닌 인간으로서 누려야 할 기본 권리다. 이동을 해야만 교육, 의료 서비스, 여가문화 등을 즐길 수 있는데 이동권을 제한한다면 장애인 삶은 감옥에 가둬놓는 것과 같다"며 "예산문제로 인해 장애인 이동권은 늘상 배제되거나 뒷전이다. 장애인 콜택시 뿐 아니라 다양한 연계적인 교통시스템을 확충하고 교통약자지원센터가 공공성으로서 책임을 다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박은환 기자 p01099725313@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 대선 정국 요동… 충청의 정국 주도로 '중도의 꿈' 실현
  2. 대전교육청, 초등생 살해교사 명재완씨 징계 확정… 최고 수준 '파면' 예상
  3. "갈등·분열의 시대, 신문의 역할과 책임 더욱 무거워"
  4. [사설] 6·3 대선, '좋은 대통령' 뽑는 축제이길 바란다
  5. 尹정권 교육정책 안갯속… "현장의견 반영해 재검토 해야"
  1. "재미로 그랬다"…무면허 난폭운전하다 사람 친 10대 일당 검거
  2. [사설] 고삐 풀린 물가, 민생 경제 챙겨야
  3. '조기 대선' 겨냥, 각 지자체 공약 선점 나서… 대전시도 대선 대비 총력
  4. [인터뷰]이환수 사단법인 한국국악협회 대전시지회 지회장
  5. 장애인전용 주차구역 불법주정차 집중 단속

헤드라인 뉴스


불붙는 조기대선, 충청 초반 정국 중심 급부상

불붙는 조기대선, 충청 초반 정국 중심 급부상

6·3 조기대선 정국 초반, 충청발(發) 매머드 이슈가 잇따라 정치권을 강타하면서 대선링을 흔들고 있다. 지역 대권 주자 배출과 결집 여부가 최대 관심사로 떠올랐고, 행정수도 개헌 등 지역 주요 현안이 대선판의 주된 이슈로 떠오르면서다. 역대 대선 때마다 정국의 중심에서 벗어났던 소극적인 스탠스에서 벗어나, 강한 정치력과 응집력을 바탕으로 충청의 위상을 한 단계 끌어올려야 한다는 주문이 나온다. 정부는 8일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으로 치러지는 차기 대통령 선거일을 6월 3일로 확정했다. 이에 따라 정식 후보자 등록일은 5월 11일,..

`대통령실 이전과 행정수도론`...이번 대선에도 선거용 의제?
'대통령실 이전과 행정수도론'...이번 대선에도 선거용 의제?

2025년 6월 3일 대선 확정 흐름 아래 대통령 집무실의 세종시 완전 이전 이슈가 다시금 부각되고 있다. 청와대로 유턴 또는 현 용산 집무실 사용이 사실상 어려워지면서다. 광화문 청사는 보안 문제, 과천청사는 임시적 성격이란 한계로 인해 고려 대상이 되지 못한다. 결국 제2집무실 설계가 진행 중인 세종시가 제1집무실의 최적 이전지로 급부상하고 있다. 관건은 십수년 간 공고히 구축된 수도권 초집중·과밀 구도를 깰 수 있겠는가로 모아진다. 수도권은 2012년부터 세종시와 12개 혁신도시 출범 이후로도 공고한 지배력을 구축하며, 202..

이장우 "충청기반 대통령 나와야…10일 시도지사 회동"
이장우 "충청기반 대통령 나와야…10일 시도지사 회동"

국민의힘 이장우 대전시장은 8일 "충청을 기반으로 한 대통령이 나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시장은 이날 시청에서 확대간부회의를 가진 뒤 중도일보와 만나 "충청권은 홀대론에서 벗어나 정국을 주도할 수 있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또 "(충청권에 대선) 후보자가 없고, 내가 나가는 게 시민들과 충청권을 위한 일이라면 해야 할 일"이라며 "다만, 김태흠 (충남)지사가 출마한다면 당연히 김 지사를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보탰다. 조기대선이 현실화되고 당내 경선을 코 앞에 둔 시점에서 충청 보수진영 대표 잠룡으로 분류되는 이 시장..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청렴딱지로 부패를 뒤집어라’ ‘청렴딱지로 부패를 뒤집어라’

  • 세월호 참사 11주기 대전 기억다짐주간 선포 기자회견 세월호 참사 11주기 대전 기억다짐주간 선포 기자회견

  • 조기 대선 6월 3일 잠정 확정…투표함 점검 조기 대선 6월 3일 잠정 확정…투표함 점검

  • 바야흐로 봄 바야흐로 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