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속으로]蘭(난)에게 길을 묻다

  • 오피니언
  • 세상속으로

[세상속으로]蘭(난)에게 길을 묻다

윤여환 충남대 예술대학 회화과 교수

  • 승인 2019-04-01 10:02
  • 이상문 기자이상문 기자
윤여환 충남대 교수
2500여 년 전 공자(孔子)는 고고한 자태로 홀로 핀 한그루의 난초꽃을 보고 큰 깨달음을 얻었는데 그것이 공곡유란(空谷幽蘭) 의란조(倚蘭操)의 고사이다.

공자는 생애 초반 30여년 동안 천하를 주유하면서 72명의 제후들을 만나 왕도정치의 이념을 설파하지만, 패도정치의 무력이 지배하던 전국시대(戰國時代)에 어느 제후도 덕으로 세상을 다스리자는 공자의 말에 귀를 기울이지 않았다. 참담한 심정으로 고향인 노나라로 향하던 공자는 어느 인적 없는 빈 골짜기에서 홀로 피어 있는 난(蘭)을 만나게 된다. 아무도 보아주는 이 없는 공곡(空谷)에서 홀로 핀 유란(幽蘭)의 그윽한 향기를 맡으며 공자는 깊이 탄식한다. 잡초 속에 묻힌 애처로운 난초의 모습에서 자신의 처지를 느꼈기 때문이다. 공자는 인적 없는 빈 골짜기에서 운명적으로 난을 만나 크게 깨달음을 얻으며 그 뜻을 <의난조>라는 시로 읊고 거문고로 노래했다.

그 후 난초가 군자의 품격을 가진 식물로 인식되면서 난초의 향기와 고귀함은 공자로부터 나타나지만 충성심과 절개의 상징은 전국시대 초나라의 시인 굴원(屈原)으로부터 시작된다.

사군자그림에서 난의 꽃술을 그릴 때 마음 심(心)자를 약자로 찍는다. 그런데 신기하게도 꽃술을 뜻하는 한자가 꽃술 예(예)자인데 '艸(풀 초)변에 心(마음 심)이 3개나 들어 있다. 이것을 보면 사군자그림의 역사가 얼마나 오래 되었는지를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이렇듯 난초는 사군자의 하나로서 오랫동안 시인묵객의 사랑을 받아 왔으며, 한시에서는 난조(蘭藻) ·난질(蘭質) ·난궁(蘭宮) 등의 시어(詩語)를 사용하여 난초를 귀녀(貴女) 또는 우아한 미녀라고 하는 우의적 표현을 썼다. '난혜(蘭蕙)의 질(質)'이라고 하는 것도 이러한 의미이다. 또 왕비의 궁전을 난전(蘭殿)이라 하고 미인의 침실을 난방(蘭房) 또는 난실(蘭室)이라고 하는 데서도 이러한 의미를 유추해 볼 수 있다.

우정에 관해 언급한 '역경-계사전(易經 繫辭傳)'에서 "두 사람이 마음을 같이하면 그 이로움은 쇠도 끊는다. 마음이 같은 사람의 말은 그 향기가 난초와 같다"고 하여 금란(金蘭)이라는 말이 처음 생겼다.

죽림칠현(竹林七賢)의 한 사람인 산도(山濤)는 '세설신어(世說新語)'에서 친구인 혜강과 완적을 단 한번 만난 것만으로 금란지교(金蘭之交)를 맺었다고 한다. 또 백낙천의 시에도 친구 사이의 굳건한 사귐을 일컬어 '금란지계'로 나타내었고, 또한 선무성사(宣武盛事)에서 대홍정이란 사람은 친구를 얻을 때마다 장부에 기록하고 향을 피워 조상에 고했는데 이 장부 이름을 금란부(金蘭簿)라 했다는 고사가 나온다.

그 후 난초에는 '깊은 우정' '군자의 교제'라고 하는 꽃말이 생겨나서 난우(蘭友)·난형(蘭兄)·난객(蘭客)·난교(蘭交)·난계(蘭契)·난언(蘭言) 또는 금란지교(金蘭之交)·금란호(金蘭好)라고 부르게 되었다.

원대(元代) 초기에는 몽고족의 지배하에서 나라를 잃고도 지조와 절개를 지키며 은둔 생활을 한 문인들 사이에 묵란도가 저항 수단으로 그려지기도 했다. 유명한 예로는 송의 유민화가 정사초(鄭思肖)는 난을 그려도 땅에 뿌리를 내리지 않고 흙 없이 뿌리가 드러난 노근란(露根蘭)을 그려 몽고족에게 국토를 빼앗긴 설움을 표현하였다.

매죽헌 성삼문(成三問)도 '오설란(傲雪蘭)' 시에서 '공자는 거문고로 난의 곡조를 타고 굴원은 난초 수(繡) 놓인 띠를 차고 있는데 그윽한 난향기는 다른 열 가지 꽃향기에 비교 할수 없으니 이에 다시보고 사랑하리라'고 읊고 있다.

아름다운 봄 난초꽃 향기와 꽃들 가득한 사월의 길목에서 공자로부터 시작된 난초가 주는 의미를 되짚어보며 사군자적 삶의 전형을 만나고 싶다.

윤여환 충남대 예술대학 회화과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빗속에서 낭만 걷기! 대전달빛걷기대회 '내 모습 찾아보세요'
  2. [2024 대전유성과학특구 전국오픈 탁구대회] 탁구 열정에 모두 '흠뻑'…전국 탁구 동호인들의 대축제 성료
  3. 여신도 성폭행혐의 JMS 정명석 7월 마지막 공판 예고
  4. "갖가지 혐오 발언 견디며 이곳에"… 故 변희수 하사 국립대전현충원 안장
  5. [6·25전쟁 74주년] 대전전투 보문산에서 포로된 미군의 증언
  1. 아파도 쉬기 힘든 대전 학교 급식실 종사자들… 학비노조 "급식실 대체인력제 도입하라"
  2. 동구 정다운어르신복지관, "정담은 빨간짜장 나눔데이"
  3. 정명희미술관 활성화 위한 전문학예사 필요한데… 십 수년째 빈자리
  4. 성심당 온라인 쇼핑몰 개인정보 유출 시도 정황 포착
  5. 루이비통 리폼 상표권 소송…"상품의 생산 vs 처분의 일종"

헤드라인 뉴스


바이오 특화단지 선정 임박… `대전시 최적지` 기대감 고조

바이오 특화단지 선정 임박… '대전시 최적지' 기대감 고조

바이오 국가전략첨단산업 특화단지 발표가 임박한 가운데 다가오면서 대전시의 선정 당위성이 더욱 주목받고 있다. 대전시가 국내 유일 자생적으로 바이오 신약 개발 파이프라인을 형성한 만큼 이번에 정부의 파격적인 지원이 뒷받침된다면 우리나라의 글로벌 시장 경쟁력 확보를 위한 강력한 모멘텀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평가다. 25일 중도일보 취재 결과, 산업통상자원부는 서면으로 국무총리 주재 국가첨단전략산업위원회를 열고'바이오 특화단지' 최종 선정지를 27일 발표할 것으로 보인다. 관건은 정부가 대상지 선정 과정에서 바이오 신약개발의 필요성을 어느..

대전하나시티즌, 특성화 관람 좌석 본격 신설… 내달 7일 홈경기부터
대전하나시티즌, 특성화 관람 좌석 본격 신설… 내달 7일 홈경기부터

대전하나시티즌이 7월 7일 전북현대모터스와의 홈경기부터 관중 편의를 위한 특성화 관람 좌석을 신설한다. 대전은 홈경기에 방문하는 관중들의 관람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다양한 관람 환경 조성을 위해 특성화 좌석 신설을 추진했으며, 한국프로스포츠협회에서 주관한 '스마트 경기장 구축' 사업 공모에 선정되어 공사를 진행했다. 대전월드컵경기장 동측 E21구역 일부에 테이블석(149석)이 신설되며 E27구역에 운영중인 하나플레이펍 좌석이 기존 80석에서 149석으로 확장된다. 동측 테이블석 및 하나플레이펍은 2인석~6인석으로 운영하며 테이블석은..

예산 쥔 국회 예결위 충청 의원 대거 포진… 현안 예산 확보 기대
예산 쥔 국회 예결위 충청 의원 대거 포진… 현안 예산 확보 기대

제22대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 충청권 의원들이 20%를 차지하면서 굵직한 현안사업 예산 확보에 기대가 커지고 있다.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은 물론 조국혁신당까지 골고루 분포해 충청 발전을 위해 정당을 초월해 합심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활동이 주목된다. 국회는 27일 본회의를 열고 22대 국회 전반기 원 구성을 완료할 계획이다. 전날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이 원 구성에 합의한 후 국민의힘이 상임위원 명단을 제출하면서 사실상 마무리됐다. 국민의힘이 제출한 명단과 앞서 민주당이 배정을 완료한 상임위원 명단을 종합하면 국..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형화재 사전 차단! 소방시설 점검 철저’ ‘대형화재 사전 차단! 소방시설 점검 철저’

  • 아동학대 및 성추행 교사 파면 촉구하는 학부모단체 아동학대 및 성추행 교사 파면 촉구하는 학부모단체

  • ‘참전 유공자의 희생과 헌신을 잊지 않겠습니다’ ‘참전 유공자의 희생과 헌신을 잊지 않겠습니다’

  • 시원한 빗방울에 상쾌한 대전달빛걷기대회 시원한 빗방울에 상쾌한 대전달빛걷기대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