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태영 수원시장, ‘아주 특별한 통일 토크’에서 수원형 남북교류협력사업 소개

  • 전국
  • 경기

염태영 수원시장, ‘아주 특별한 통일 토크’에서 수원형 남북교류협력사업 소개

23일 오후 3시 아주대 율곡관 강당에서 열리는 토크쇼에 패널로 참여

  • 승인 2019-01-18 09:34
  • 이기환 기자이기환 기자
염태영 수원시장, ‘아주 특별한 통일 토크’에서 수원형 남북
염태영 수원시장.
염태영 수원시장이 23일 오후 3시 아주대 율곡관 강당에서 열리는 '아주(Ajou) 특별한 통일 토크'에서 남북교류협력이 나아갈 방향을 전망하고, '수원형 남북교류사업'을 소개한다.

아주대학교 아주통일연구소가 주최하는 이날 토크쇼에는 염태영 시장과 슈테판 아우어(Stephan Auer) 주한 독일대사가 패널로 참가해 '지방정부의 남북교류협력', '독일의 통일 경험', '한반도 통일의 미래' 등을 주제로 이야기를 나눈다.

염태영 시장은 남북교류협력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고, '여자아이스하키팀 남북 교류전'을 비롯해 수원시가 준비하고 있는 '남북교류협력사업'을 소개한다.

슈테판 아우어 대사는 동독과 서독 지방정부의 교류·협력이 독일 통일 과정에 얼마나 큰 역할을 했는지 설명한다.



또 독일 지방도시에서 탄생한 '보이텔스바흐 협약'(Beutelsbach consensus)이 독일 통일교육과 민주시민교육에 미친 영향을 소개한다.

보이텔스바흐 협약은 1976년 서독의 보수와 진보를 망라하는 교육자·정치가·연구자 등이 보이텔스바흐에 모여 정립한 교육지침이다.

이들은 치열한 토론 끝에 이념과 정권에 치우치지 않는 교육을 목표로 하는 지침을 마련하고, 정치교육 원칙을 합의했다.

수원시는 2017년 1월 '수원시 남북교류협력위원회'를 구성하고, 남북교류협력을 준비하고 있다.

위원회는 '수원시 남북교류협력에 관한 조례'를 근거로 남북 교류와 협력을 활성화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지난해 11월에는 '수원시 남북교류협력을 위한 300인 원탁토론'을 열고, 토론에 참여한 시민들의 투표로 '수원시 남북교류 협력사업'의 우선순위를 선정한 바 있다.

수원=이기환 기자 ghl331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월요논단] 2025년 대전시 대중교통의 새로운 변화
  2. 충남, 영화.드라마 촬영지로 각광
  3. 대전시, 韓 일류 바이오도시 도약 총력전
  4. '카카오같이가치' 난방유 지원 ‘난방 온(溫), 행복 ON’
  5. 새들뫼키움어린이집,바자회 수익금 기부
  1. 대전 교육공무직 결원 채용은 교원 부담… 체계적 선발시스템 절실
  2. '충남 방문의 해' 지자체 연계 관광 활성화 나서
  3. [DSC 공유대학] '공동학위·산학협력·공공기관 연계' 지역 인재 양성 중심 '우뚝'
  4. 아산시 송악면 사랑나눔회, 저소득층 가구에 떡국-계란 나눔행사 펼쳐
  5. 충남 장항 국가습지 복원사업 본격화…환경영향평가 착수

헤드라인 뉴스


철도지하화 사업 기반 확보…대전도 올해는 속도낼까

철도지하화 사업 기반 확보…
대전도 올해는 속도낼까

정부가 철도지하화 사업을 지원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면서 대전지역에서 추진하는 철도지하화 사업이 속도를 낼지 주목된다. 국토교통부는 1월 31일부터 '철도지하화 및 철도부지 통합개발에 관한 특별법(이하 철도지하화통합개발법)' 시행령·시행규칙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 법안은 철도지하화와 철도부지 개발을 통합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지난해 1월 30일 제정된 특별법의 하위법령이다. 법령에는 역세권 중심의 고밀 복합도시 조성을 위한 특례를 확대하고,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지원 및 개발사업의 체계적 추진을 위한 내용이 담겼다. 특례의 핵..

대전시,  韓 일류 바이오도시 도약 총력전
대전시, 韓 일류 바이오도시 도약 총력전

대전시가 국내 일류 바이오 도시로 도약하기 위해 총력전을 벌이고 있다. 바이오메디컬 규제자유특구 종료와 바이오특화단지 지정이 교차하는 중대 변곡점에서 각종 규제개선, 연구시설 인프라 구축 등 기존 성과를 바탕으로 기술혁신과 신약개발을 통해 우리나라 바이오산업 패권을 가져오겠다는 전략이다 대전은 아직 수도권 벽을 넘지 못하고 있다. 실제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바이오협회가 발표한 지난해 12월 2023년 기준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 결과 보고서를 보면 바이오기업은 서울, 경기지역에 가장 많다. 바이오기업 본사는 서울 286개, 경기 3..

대전서 10년새 가장 많이 오른 외식 메뉴는 비빔밥... 대표메뉴 40~60% 상승률
대전서 10년새 가장 많이 오른 외식 메뉴는 비빔밥... 대표메뉴 40~60% 상승률

대전 소비자들이 즐겨 찾는 주요 외식 메뉴 중 지난 10년간 비빔밥 가격이 가장 많이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대표적인 서민 음식인 자장면 가격도 60% 인상되면서 외식 부담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2일 한국소비자원 참가격에 따르면 2024년 12월 기준 대전의 7개 외식 메뉴 가격은 적게는 40%에서 많게는 60%가 넘는 인상률을 나타냈다. 해당 기간 가장 많이 오른 품목은 비빔밥으로, 2014년 12월 6000원에서 2024년 12월 1만원으로 66.6%나 인상됐다. 직장인들이 점심시간 즐겨찾는 김치찌개 백반도 해당 기간 6000..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양지서당에 찾아 온 ‘입춘대길, 건양다경’ 양지서당에 찾아 온 ‘입춘대길, 건양다경’

  • 마지막 스케이트 즐기는 시민들 마지막 스케이트 즐기는 시민들

  • 추위 실감케 하는 고드름 추위 실감케 하는 고드름

  • 고향의 정 새기며…‘다시 일상으로’ 고향의 정 새기며…‘다시 일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