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범계-김소연 금품선거 방조의혹 진실공방 '격화'

  • 정치/행정
  • 국회/정당

박범계-김소연 금품선거 방조의혹 진실공방 '격화'

박범계 "휴대폰이 스모킹건 주장은 거짓…금품요구 보고 주장도 거짓 자인"
김소연 "朴휴대폰 통화기록 조사해야…특별당비표 다지털 포렌식 다 나올 것"

  • 승인 2018-12-01 11:00
  • 수정 2018-12-01 15:15
  • 강제일 기자강제일 기자
0004361030_001_20181121170834016
민주당 박범계 의원
박범계지난 613지방선거 때 더불어민주당 불법금품선거 방조의혹을 둘러싼 박범계 의원(대전서을)과 김소연 대전시의원간 설전이 격화되고 있다.

박 의원은 1일 "김소연 시의원이 (나의)휴대전화가 '스모킹건'이라 주장하며, 다시금 주변의 관심을 돌려 김 시의원 자신이 저지른 거짓말을 감추려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이날 정치부 기자들에게 보도자료를 보내 이같이 밝힌 뒤 "더 이상 대전시민들과 언론들을 상대로 호도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김 시의원에 경고했다.

자신의 휴대전화 사용내역에 대해선 "금품요구를 하고 금품수수한 선거브로커 A씨가 2016년 6월 20일 퇴직한 이후, 그와 전화나 문자, 카톡 등을 주고받거나 만난 적이 단 한 차례도 없다"고 해명했다. 이어 "구속된 전 B시의원과 최종 문자는 2월 17일까지가 전부로 B씨와의 카톡은 3월 26일까지 진행되다가, 금품 요구·수수 기간에는 전혀 없었다"고 덧붙였다. 다만, "B씨와 허태정 대전시장 후보 확정 직후인 4월 18일부터 다시 카톡이 시작되는 데 주로 시장후보 선대위 관련한 것이었고 '권리금'이나 '금전적 문제'에 대한 직·간접적 대화는 전혀 없었다"고 밝혔다.

박 의원은 이와 함께 금품요구 건을 보고받고 묵살했다는 김 시의원의 주장에 대해선 "김 시의원은 최초 주장에 대해 번복하거나 지속적으로 거짓말을 하고 있다"며 "김 시의원은 팟캐스트 펀치 특집 2부(2018년 11월 30일자, 13분 20초)에 출연하여 본인 스스로"그 날은 돈 얘기는 안했고…"라고 밝혔다. 최초의 주장이 거짓말임을 본인 스스로 자인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2018111501001550000065751
김소연 대전시의원
앞서, 박 의원을 공직선거법 위반 방조 등의 혐의로 고소고발한 김소연 시의원은 지난달 29일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조사받기 위해 대전지검에 나온 자리에서 기자들과 만나 "확실한 스모킹 건은 박범계 의원 휴대전화에 있을 것으로 휴대전화와 비서 통화기록 등을 조사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그는 "박범계 의원 및 비서가 전 시의원 B씨 등과 통화한 기록과 저에게 보여줬던 특별당비 표 등은 디지털 포렌식을 하면 다 나올 것"이라며 "수사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지난번 검찰 조사 때 빠진 내용이나 미흡한 점을 자세하게 진술할 것"이라며 "1g의 거짓말도 없이 구체적으로 일관성 있게 진술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김 시의원은 지난 6·13 지방선거 당시 박 의원 비서관 출신인 선거브로커 A씨가 금품을 요구했다고 지난 9월 자신의 SNS에 폭로했고 선관위의 고발로 시작된 검찰수사에서 A씨와 김 의원에게 시의원 지역구를 물려준 전 시의원 B씨등 2명을 구속기소 했다.

김 시의원은 지난 28일 "박 의원은 금품요구 사실을 알면서도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았고, 판사 출신으로서 금품요구 행위가 범죄인지를 몰랐을 리 없는 만큼 엄중히 책임을 묻기 위한 수사를 촉구한다"며 대전지검에 박 의원을 고소·고발한 바 있다.
강제일 기자 kangjeil@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도안신도시 국가산단·트램·서남부스포츠타운 등 개발 호재로 가치 '입증'
  2. 하늘에서 본 대전시티투어 명소 '놀거리 볼거리 가득'
  3. '석식 중단' 대전 A학교, 조리원 징계의결서 접수
  4. 이재명 이어 김동연도 "해수부 이전" … 선심성 공약 남발
  5. [사설] '세종 행정수도' 역행하는 ‘해수부 부산 이전’
  1. 오석환 교육부 차관, 대전신탄진중서 AIDT 현장 의견 청취
  2. "최저임금 올라도 급여는 깎여" 대전 경비노동자들의 호소
  3. [현장취재]지식의 융합과 CNU 교육의 미래
  4. [사설] 소멸 위기 부여·서천, 경제 활로 '분투'
  5. KAIST 뉴욕캠 이어 실리콘밸리 캠퍼스 구축한다… 글로벌 창업 인재 양성에 힘

헤드라인 뉴스


학교 떠나는 학생들… 대전 학업중단 고교생 年 800명 달해

학교 떠나는 학생들… 대전 학업중단 고교생 年 800명 달해

한해 800명에 달하는 대전의 고교생이 학교를 떠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생활에 적응하지 못하는 원인도 있지만, 대입을 위해 전략적 학업중단도 예상돼 교육시스템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3일 대전교육청에 따르면 지난해 집계된 2023학년도 학업중단 고교생은 789명에 달한다. 2019년 747명이었던 학업중단 학생 수는 코로나 영향으로 2020년 506명, 2021년 620명으로 잠시 줄었다가 2022년 757명으로 다시 늘어나는 추세다. 전체 고교생 대비 학업 중단율도 증가세를 보였다. 2019년 1.66%, 2020년 1..

진격의 한화이글스…마리한화 재가동 힘입어 관중 40% 증가
진격의 한화이글스…마리한화 재가동 힘입어 관중 40% 증가

프로야구 한화이글스가 2025 KBO리그에서 '마리한화' 모드를 재가동하며 야구 팬들을 열광케 했다. 신축구장 개장과 함께 평균 관중 수가 지난해 1만2000명에서 경기당 1만 6752명으로 증가해 10개 구단 중 관중 증가율(40%) 3위를 기록할 정도다. 한국야구위원회(KBO)는 22일 기준 잠실·수원·고척 야구장에서 열린 3경기에 총 2만 5247명이 경기장을 찾아, 올 시즌 누적 관중 200만 5317명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118경기 만에 200만 관중을 돌파한 것으로, 이는 126경기 만에 200만 관중을 동원한 201..

충청 정치, 이번 대선에서도 조연… 역할 높이는 `자강(自强)` 시급
충청 정치, 이번 대선에서도 조연… 역할 높이는 '자강(自强)' 시급

6·3 조기 대선을 한 달여 앞둔 가운데 충청 정치의 자강(自强)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지역을 하나로 묶는 구심점 역할의 대표 인물 부재, 손익 계산에 따라 대권 주자별로 각기 분파하는 충청의 정치세력 등 이번 대선에서도 충청 정치의 고질적인 특징이 재현되면서다. 충청의 정치력 증강이 결국 지역의 미래 성장과 직결하는 만큼 이제라도 정치 자강에 노력을 기울여야 할 때라는 지적이 나온다. 사실 대선 초반 정국에서 충청의 주목도는 높았다. 더불어민주당이 대선후보 선출을 위한 첫 순회경선 지역으로 충청을 택하는가 하면 대통령실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책 읽기에 빠진 어린이들 책 읽기에 빠진 어린이들

  • ‘봄꽃 구경하러 오세요’ ‘봄꽃 구경하러 오세요’

  • 사이버 위법행위 ‘꼼짝마’ 사이버 위법행위 ‘꼼짝마’

  • 집중단속 아랑곳 않고 불법투기 여전 집중단속 아랑곳 않고 불법투기 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