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 3 가채점 교실 가보니… '불국어'때문에 2, 3교시까지 혼란

  • 사회/교육
  • 교육/시험

고 3 가채점 교실 가보니… '불국어'때문에 2, 3교시까지 혼란

평소 모평보다 10점이상 떨어져... 등급컷은 올라갈 듯

  • 승인 2018-11-18 15:32
  • 신문게재 2018-11-19 5면
  • 박수영 기자박수영 기자
20181116-수능 가채점 상담2
대전 둔원고에서 고3 수험생들이 수능 가채점 결과를 놓고 담임교사와 지원 가능한 대학에 대해 상담을 하고 있다./사진=이성희 기자
"1교시 국어부터 너무 어려워 멘탈이 흔들려서 2, 3교시까지 멍할 정도 였어요."

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다음날인 16일 대전지역 고교 3학년 교실은 수능이 끝났다는 홀가분함과 가채점을 마친 학생들의 당혹감과 긴장감이 가득했다.

수능 도입 이래 역대급 난이도를 보인 국어가 가장 큰 원인이였다.

이날 오전 서구 둔원고 3학년 학생들은 교실에 모여 전날 치른 시험 얘기를 하며 앞으로 대입 지원 전략을 고민했다.



학생들의 대화 주제는 단연 '불수능'으로 불린 국어영역.

고 3학생들은 올해 수능은 국어가 가장 어려웠다고 입을 모았다.

국어영역부터 체감 난도가 높아 긴장하다보니 나머지 과목도 제대로 실력을 발휘하지 못했다.

다만 시험이 어렵게 출제돼 변별력을 갖춘 만큼 상위권에 비해 중위권 학생들의 걱정이 큰 듯했다.

김보미 학생은 "국어영역의 화법부터 너무 어려워 문제를 푸는데 시간을 많이 잡아 먹었다"며 "서양 천문학의 과학적 설명과 중국 천문학의 철학적 설명을 융합한 과학 지문은 정말 국어인지 과학인지 헷갈릴 정도였다"고 토로했다.

박정현 학생은 "수능 출제본부에서는 이번 수능이 모평과 비슷한 수준이라고 했지만, 모평때와 비교해 국어는 난이도가 확실히 높았다"며 "국어영역은 틀린거에 비해 오히려 등급컷은 올라 간 것 같다"고 전했다.

국어영역의 난코스로 꼽힌 과학과 천문학의 철학적 설명을 융합한 과학 지문을 두고서는 "찍어 넘겼다", "과학인지 국어인지 헷갈린다", "불국어였다"라는 원성이 쏟아졌다.

까다로웠던 국어 탓에 벌써 재수를 준비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말까지 나온다. 또 다른 한 학생은 "국어와 영어가 어려워서 애를 먹었다. 벌써 재수를 준비하는 친구들이 나올 정도다"며 학교 분위기를 전했다.

선생님이 가채점 결과를 종이에 적어 내도록 하자 학생들은 "진짜 망했다", "아직 안 맞춰 봤어요" 등의 하소연과 볼멘소리가 이어지기도 했다.

이가빈 학생은 "나름대로 수능 준비를 했다고 생각했는데 1교시 국어부터 많이 흔들렸다"며 "6월 9월 모평 비교해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는데 오히려 등급컷은 올라갔다. 이제 논술, 면접을 준비하기에 바쁘다"고 말했다.

진학 담당 교사는 "학생들이 국어에서 받은 긴장감과 충격의 여파가 다른 과목에까지 이어져 평소 모의고사 점수보다 10점 이상 떨어진 경우가 많다"며 "상위권 학생 사이에서도 예년보다 격차가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박수영 기자 sy870123@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 대선 정국 요동… 충청의 정국 주도로 '중도의 꿈' 실현
  2. "갈등·분열의 시대, 신문의 역할과 책임 더욱 무거워"
  3. 尹정권 교육정책 안갯속… "현장의견 반영해 재검토 해야"
  4. [사설] 6·3 대선, '좋은 대통령' 뽑는 축제이길 바란다
  5. "재미로 그랬다"…무면허 난폭운전하다 사람 친 10대 일당 검거
  1. [사설] 고삐 풀린 물가, 민생 경제 챙겨야
  2. '조기 대선' 겨냥, 각 지자체 공약 선점 나서… 대전시도 대선 대비 총력
  3. [인터뷰]이환수 사단법인 한국국악협회 대전시지회 지회장
  4. 장애인전용 주차구역 불법주정차 집중 단속
  5. [S석 한컷]두 말 필요없는 완벽한 패배 K리그1 7R 대전 VS 전북

헤드라인 뉴스


불붙는 조기대선, 충청 초반 정국 중심 급부상

불붙는 조기대선, 충청 초반 정국 중심 급부상

6·3 조기대선 정국 초반, 충청발(發) 매머드 이슈가 잇따라 정치권을 강타하면서 대선링을 흔들고 있다. 지역 대권 주자 배출과 결집 여부가 최대 관심사로 떠올랐고, 행정수도 개헌 등 지역 주요 현안이 대선판의 주된 이슈로 떠오르면서다. 역대 대선 때마다 정국의 중심에서 벗어났던 소극적인 스탠스에서 벗어나, 강한 정치력과 응집력을 바탕으로 충청의 위상을 한 단계 끌어올려야 한다는 주문이 나온다. 정부는 8일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으로 치러지는 차기 대통령 선거일을 6월 3일로 확정했다. 이에 따라 정식 후보자 등록일은 5월 11일,..

`대통령실 이전과 행정수도론`...이번 대선에도 선거용 의제?
'대통령실 이전과 행정수도론'...이번 대선에도 선거용 의제?

2025년 6월 3일 대선 확정 흐름 아래 대통령 집무실의 세종시 완전 이전 이슈가 다시금 부각되고 있다. 청와대로 유턴 또는 현 용산 집무실 사용이 사실상 어려워지면서다. 광화문 청사는 보안 문제, 과천청사는 임시적 성격이란 한계로 인해 고려 대상이 되지 못한다. 결국 제2집무실 설계가 진행 중인 세종시가 제1집무실의 최적 이전지로 급부상하고 있다. 관건은 십수년 간 공고히 구축된 수도권 초집중·과밀 구도를 깰 수 있겠는가로 모아진다. 수도권은 2012년부터 세종시와 12개 혁신도시 출범 이후로도 공고한 지배력을 구축하며, 202..

이장우 "충청기반 대통령 나와야…10일 시도지사 회동"
이장우 "충청기반 대통령 나와야…10일 시도지사 회동"

국민의힘 이장우 대전시장은 8일 "충청을 기반으로 한 대통령이 나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시장은 이날 시청에서 확대간부회의를 가진 뒤 중도일보와 만나 "충청권은 홀대론에서 벗어나 정국을 주도할 수 있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또 "(충청권에 대선) 후보자가 없고, 내가 나가는 게 시민들과 충청권을 위한 일이라면 해야 할 일"이라며 "다만, 김태흠 (충남)지사가 출마한다면 당연히 김 지사를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보탰다. 조기대선이 현실화되고 당내 경선을 코 앞에 둔 시점에서 충청 보수진영 대표 잠룡으로 분류되는 이 시장..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청렴딱지로 부패를 뒤집어라’ ‘청렴딱지로 부패를 뒤집어라’

  • 세월호 참사 11주기 대전 기억다짐주간 선포 기자회견 세월호 참사 11주기 대전 기억다짐주간 선포 기자회견

  • 조기 대선 6월 3일 잠정 확정…투표함 점검 조기 대선 6월 3일 잠정 확정…투표함 점검

  • 바야흐로 봄 바야흐로 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