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노래]퀸의 보헤미안 랩소디

  • 문화
  • 문화/출판

[나의 노래]퀸의 보헤미안 랩소디

  • 승인 2018-11-05 15:09
  • 수정 2018-11-05 23:23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프레디 머큐리
연합뉴스
오페라인가, 대중음악인가. 7분이라는 전무후무한 긴 시간의 팝 음악은 지금도 존재하지 않는다. '보헤미안 랩소디'. 화려한 사운드와 그룹 퀸의 천재적 음악성은 지금까지 아니, 앞으로도 불멸의 음악으로 확고한 자리를 지킬 것이다.

대학 때 기숙사에서 늦은 밤까지 FM 라디오를 듣는 것은 유일한 낙이었다. 군사독재의 엄혹한 현실에서 캠퍼스의 낭만은 사치였다. 강의는 결강하기 일쑤였고 화사한 벚꽃 아래 봄꽃의 향기는 취루탄 냄새로 대체되었다. 오월의 봄은 퇴색된 지 오래. 독재자의 민심 수습용 올림픽은 무사히 치러졌지만 독재의 상흔은 아물지 않은 채 삶을 견디는 시간들은 더디 흘러갔다.

늦은 밤 카세트라디오에서 흘러나오는 모기소리만한 음악에 귀를 기울이며 감동의 눈물을 흘리지 않은 자 어디 있으랴. 귀를 후벼파는 기계음과 인간이 낼 수 있는 최고조의 고성, 화려한 아카펠라. 이건 뭐지? 꿈결인 듯, 현실인 듯 놀이기구를 타는 듯한 현기증을 불러일으키는 '보헤미안 랩소디'와의 랑데부는 오랫동안 각인되기에 충분했다.

이국적인 용모의 프레디 머큐리의 잘 빠진 몸을 드러내는 타이트한 옷차림과 화려한 액세서리. 그리고 짙은 콧수염과 뻐드렁니. 그 입에서 터져나오는 괴성같은 창법은 누구도 따라갈수 없는 독보적인 것이었다. "마마, 사람을 죽였어요, 머리에 겨눈 총구로 방아쇠를 당겨 죽였어요, 난 죽기 싫어요, 난 태어나지 않았으면 좋았을 걸." 프레디의 절규가 가슴을 후벼판다.



'퀸'의 재현이다. 지난날의 향수는 달콤하지 않다. 회한과 눈물이 앞을 가린다. 영화가 끝나고 엔딩 크레디트가 다 올라가도 관객들은 일어설 줄 모른다. 프레디 머큐리는 갔지만 그의 신화는 굳건하다. 이민자의 설움과 외로움이 퀸의 자양분이었고 관객의 몫은 차고 넘친다. 안녕 프레디, 안녕 퀸.
우난순 기자 rain4181@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尹파면] 6월 3일 '장미대선' 유력... 정치권 움직임 분주
  2. [尹파면] 막 오른 조기대선, 충청 현안 공약화 '발등의 불'
  3. [尹파면] 개헌론 대선링 흔드나 … 행정수도 개헌 시대적 사명
  4. [尹파면] 전원일치 인용에 충청 시도지사 "존중"
  5. "이제는 안정과 화합이다" 지역민 목소리
  1. [尹파면] 조기대선 민주-국힘 사생결단 총력전 … 중도층 향배 최대 관건
  2. [尹파면] 조기대선 레이스 진보 이재명 보수 김문수 선두
  3. 대전 문평동 폐기물처리업체 화재…초진 완료 후 잔불 정리 중 (종합)
  4. [尹파면] 헌재 '헌법정신' 전면부각 국민통합 메시지
  5. [尹파면] 대전 진보 자치구의장들 "민주주의 회복, 일상 회복 전념해야"

헤드라인 뉴스


`행정수도 완성` 대선정국 요동… 충청 주도로 `중도의 꿈` 실현을

'행정수도 완성' 대선정국 요동… 충청 주도로 '중도의 꿈' 실현을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이 조기 대선 정국 초반을 뒤흔들면서 충청의 정국 주도론이 주목받고 있다. 1987 체제 극복을 위한 개헌 공감대가 폭넓게 형성된 데다, 대권 주자들도 행정수도 이전에 공감하는 만큼 이번 대선 정국에서 충청의 적극적인 역할로 '중도(中都)의 꿈'을 실현해야 한다는 주장에 힘이 실린다. 최근 행정수도 개헌은 조기 대선 정국과 맞물려 동력이 되살아나고 있다. 그동안 지역과 일부 인사들을 중심으로 요구가 이어졌지만, 현실적으로 추진되진 못했다. 하지만 상황이 급변했다.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파면 결..

`대내외 악재` 국내 고용시장 위기감… 3월 고용보험 가입자 역대 최저 증가
'대내외 악재' 국내 고용시장 위기감… 3월 고용보험 가입자 역대 최저 증가

미국발 관세 쇼크 등 대내외 악재로 국내 고용시장의 위기감이 감돈다. 지난달 고용보험 상시가입자 수 증가 폭이 역대 3월 기준으로 27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하면서다. 특히 오랜 기간 침체를 겪고 있는 건설업을 중심으로 고용이 더욱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7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고용행정 통계로 보는 노동시장 동향'에 따르면 3월 말 기준 고용보험 상시가입자는 1543만 5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5만 4000명(1.0%)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는 1998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3월 기준으로 가장 낮..

정치권, 줄줄이 대선 출마 선언… 국힘은 이미 선관위까지 구성
정치권, 줄줄이 대선 출마 선언… 국힘은 이미 선관위까지 구성

윤석열 파면 후 첫 월요일, 주요 인사들이 줄줄이 대선 출마를 선언하면서 조기 대선이 달아오르고 있다. 국민의힘이 거센 책임론에도 가장 먼저 선거관리위원회 구성을 완료하자, 더불어민주당은 “염치가 있다면 대선후보를 내지 말아야 한다”고 압박했다. 더불어민주당 김두관(66) 전 국회의원은 7일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윤석열 파면으로 혹독한 내란의 겨울이 끝났다. 제7 공화국을 여는 개헌 대통령이 되겠다"고 대선 출마를 선언했다. 진보 진영 대권 주자 중에서는 첫 출마다. 김 전 의원은 "김두관 정부는 국가 경제의 수도권,..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조기 대선 6월 3일 잠정 확정…투표함 점검 조기 대선 6월 3일 잠정 확정…투표함 점검

  • 바야흐로 봄 바야흐로 봄

  • ‘꼼꼼한 관리로 건강을 지켜요’ ‘꼼꼼한 관리로 건강을 지켜요’

  • 제21회 예산 윤봉길 전국 마라톤대회 성료…‘봄을 느끼다’ 제21회 예산 윤봉길 전국 마라톤대회 성료…‘봄을 느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