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 복지대, 꿈트리 진로축제 성료

  • 전국
  • 경기

평택 복지대, 꿈트리 진로축제 성료

경기도평택교육지원청과 공동 개최

  • 승인 2018-10-28 12:05
  • 이성훈 기자이성훈 기자
꿈트리
한국복지대학교와 경기도평택교육지원청 공동으로 진행된 '2018 평택 특수교육 꿈트리(Dream Tree) 진로축제'가 지난 26일 복지대 인학관 체육관에서 개최됐다.사진은 행사진행 모습이다<사진=한국복지대학교 제공>
한국복지대학교와 경기도평택교육지원청 공동으로 진행된 '2018 평택 특수교육 꿈트리(Dream Tree) 진로축제'가 지난 26일 복지대 인학관 체육관에서 개최됐다.

이번 축제는 특수교육 대상 학생들의 진로체험 활동을 통한 잔존감각과 잠재적 소질 발굴 및 신체능력 개발 위해 마련됐다.

행사는 평택 진로체험지원센터, 한국복지대학교 학과 부스 등 총 35개 체험부스가 설치되어 직접 참여하는 위주로 행사가 운영 됐다.

주요 체험부스는 공예가, 디자이너, 궁사, 게임설계사, 드론활동가, 바리스타, 요리사 등 다양한 직업을 탐색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특히 한국복지대학교에서는 귀금속보석공예 체험부스, 게임 체험부스, 유니버설디자인(센터) 체험부스를 운영했다.

복지대 관계자는 "이번 행사를 통해 평택시 관내 특수학급 학생들과의 한마음이 될 수 있는 귀중한 시간이 될 수 있었다"고 말했다.

평택=이성훈 기자 krg0404@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식장산 정상에 커피·라면 판매점… 관광 vs 상업화 평가 엇갈려
  2. 막 오른 4·2 재보궐, 탄핵정국 속 충청권 표심은?
  3. [설 연휴 사건사고] 천안서 채무 문제로 흉기 살인…폭설에 충청권 곳곳 교통사고 (종합)
  4. “경제 살려달라” 매서웠던 설 민심 … 조기대선 대치도
  5. 현장체험학습이 두려운 교사들… '학교안전법' 개정 목소리 커져
  1. 한국타이어, 대전·충남사회복지모금회에 6억1000만원 쾌척
  2. 움츠러든 충청권 상장사…1년 간 시가총액 10조 원 감소
  3. 대전 대덕구, 2025년 지역사회서비스 이용자 모집
  4. 대전 중구, 유등교 가설교량 부분개통 현장점검
  5. 국세청, 2025년 신규 세무사 700명 뽑는다

헤드라인 뉴스


청약통장 70% `수도권 쏠림`… 비수도권과 양극화 더 커져

청약통장 70% '수도권 쏠림'… 비수도권과 양극화 더 커져

지난해 1순위 청약통장 10개 중 7개는 수도권 분양에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로또 청약' 열풍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되지만, 수도권 쏠림 현상이 매년 심화되면서 주택시장 양극화가 가속할 것이란 우려도 커지고 있다. 30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1순위 청약에 접수된 청약통장 150만 8001건 중 60만 3481건이 서울 분양에 사용됐다. 이는 40%에 달하는 수치로 경기를 포함한 수도권(74.2%)이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서울에 이어 1순위 청약 접수 비중이 큰 곳은 경기도(28.4%)였다. 경기도는 20..

[펫챠-Q&A] 제설제 때문에 반려견이 화상을 입을 수 있다?
[펫챠-Q&A] 제설제 때문에 반려견이 화상을 입을 수 있다?

# 겨울마다 꽁꽁 언 도로와 인도에 뿌려지는 하얀 가루, 제설제에 주로 쓰이는 염화칼슘 때문에 반려견이 화상 입을 수 있다? 정답부터 말하자면 '아니오'다. 겨울철이 되면 인터넷에 '제설제 반려견 화상'에 대해 문의가 꾸준히 올라온다. 염화칼슘이 공업용 화학물질이라는 인식이 강해 반려인들로 하여금 거부감을 주기 때문이다. 염화칼슘은 칼슘과 염소로 이루어진 화합물로 물과 반응할 때 열을 발생시키는 특성 때문에 눈과 얼음을 녹이는 데 효과적이다. 대전시의 경우, 소금 70%, 염화칼슘 30%의 정해진 비율로 제설제를 혼합해 사용하고 있..

월급 2.8% 느는 동안 물가 3.6% 올랐다
월급 2.8% 느는 동안 물가 3.6% 올랐다

'내 월급 빼고 다 올랐다'는 말이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근로자들의 월급이 2.8% 느는 동안 소비자 물가는 3.6% 상승했기 때문이다. 월급과 물가 상승률 차이는 0.8%포인트로 이는 금융위기 이후 최대 격차다. 30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임광현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연도별 근로소득 천분위 자료에 따르면 최근 집계된 2023년(귀속연도) 1인당 평균 근로소득(총급여 기준)은 4332만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4213만원이었던 1년 전과 비교하면 2.8% 증가한 것으로, 최근 10년간 평균 증가율(3.6..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추위 실감케 하는 고드름 추위 실감케 하는 고드름

  • 고향의 정 새기며…‘다시 일상으로’ 고향의 정 새기며…‘다시 일상으로’

  • 잊혀져가는 공중전화의 추억 잊혀져가는 공중전화의 추억

  • 명절 연휴 고속도로의 유용한 정보들 명절 연휴 고속도로의 유용한 정보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