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품종 설명회에는 신품종의 식미평가를 비롯해 특성 소개와 다른 품종과의 비교 전시, 벼베기 행사 등으로 진행됐다.
고향흑미는 농업기술원에서 기존에 개발된 청풍흑찰(2010년)과 청풍흑향찰(2014년)에 이은 세 번째 벼 신품종으로 지난 2005년 동진1호와 흑향벼를 교배해 2014~2016년 도내 지역적응 시험을 거쳐 올해 신품종으로 최종 등록됐다.
주요 특성으로는 아밀로스함량이 13.5%인 중간찰벼로서 벼가 어린 육묘단계부터 향이 나는 품종이다.
쌀알 크기는 추청벼보다 작고 이삭이 패는 출수기는 8월 18일 중만생종으로 현미 수량은 1000㎡당 55㎏ 가량의 다수성 품종이다.
고향흑미는 항산화 물질인 안토시아닌이 200.1㎎/100g 함유돼 있고 혈당강하능력도 흑산찰벼 보다 50% 가량 증가돼 기능성 흑색향미를 찾는 소비자에게 큰 호응을 얻을 것으로 보인다.
앞서 개발된 청풍흑찰은 수량성과 품질이 우수해 진천을 중심으로 청주와 충주 등 도내 526ha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유색미 도내 재배면적의 92%를 차지하고 있다.
앞으로 농업기술원은 개발한 고향흑미와 청풍흑찰, 청풍흑향찰을 대표 특성화 벼 품목으로 확대 육성할 계획이다.
농업기술원 이채영 연구사는 "고향흑미 신품종을 1~2년간 농가실증을 마친 후 종자생산 및 보급을 통해 도내 흑미 주요품종인 청풍흑찰과 함께 재배해 고향흑미 재배면적을 점차 확대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청주=오상우 기자 oswso@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