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쓸신문] 로또 1등 가장 많이 당첨된 숫자는 무엇?

  • 사회/교육
  • 이슈&화제

[알쓸신문] 로또 1등 가장 많이 당첨된 숫자는 무엇?

  • 승인 2018-09-06 14:09
  • 수정 2018-09-06 14:14
  • 서혜영 기자서혜영 기자

[알.쓸(알고보면 쓸모있는).신.문]

 

로도로또 최종
매주 토요일 8시 40분 우리의 가슴을 떨리게 하는 순간이다. 1~45번까지 숫자 중에서 6개의 숫자를 결정하고 내가 고른 번호가 추첨되기를 기다린다. 당첨되면 수십억에서 많게는 수백억까지 상금을 받게 되며 말 그대로 '인생 역전' 하게 된다. 바로 '로또' 이야기다.

로또는 최고 당첨금액이 제한없는 복권을 말한다. 정식 명칭은 '온라인 연합복권'으로 국내에서는 2002년 12월부터 시작됐다.

로또는 이미 정해진 번호를 사는 것이 아니라 본인이 자유롭게 번호를 고를 수 있고, 방식도 간단해 출시되자마자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국내에서 발매되는 로또는 1부터 45까지의 숫자 중 자신이 원하는 6개의 숫자를 임의로 고르는 '645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로또는 1등 당첨자 수가 적거나 로또 구매자 들이 많을수록 당첨금이 늘어나기도 해 기존의 복권과는 확연히 구분된다. 여러 차례 당첨자를 내지 못한 로또의 이월 당첨금액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면서 지난 2003년 19회에는 당첨금이 무려 407억원 2295만원이 되기도 했다.

당시 19회 1등 당첨자는 단 1명이었고 직전 18회 추첨금이 이월되면서 총 407억원의 어마어마한 당첨금을 받게 된 것이다.

반대로 로또 역대 최저 당첨금액은 546회의 4억 590만원이다. 무려 30명이 당첨되며 금액이 작아졌다. 1등 당첨자들은 다소 아쉬웠을 것이다.

11
번호별 당첨횟수순 /사진 출처=나눔로또 홈페이지
로또는 현재까지 9월 3일을 기준으로 822회를 맞았다. 그럼 1회에서 822회까지 가장 많이 당첨된 숫자는 무엇일까? 나눔로또에 따르면 가장 많이 당첨된 숫자는 27번으로 148회가 당첨됐다. 2위는 43번으로 147회, 3위는 1번으로 145회였다. 뒤이어 34번, 20번이 행운의 숫자로 선택됐다.

반대로 기간별 미출현 번호도 있다. 최근에는 10주 동안 5, 8, 23, 32, 37, 41번이 한 번도 추첨되지 않았으며 이중에서도 37번은 15주간 한 번도 당첨되지 않은 불운의 숫자가 됐다.

하지만 이 단순해 보이는 게임은 1등 당첨확률이 무려 815만분의 1에 달한다. 벼락을 맞을 확률이 428만분의 1이라고 하니, 로또를 통한 인생역전은 벼락을 맞을 확률보다 훨씬 더 어렵다.

그래도 사람들은 매주 로또를 사며 희망을 꿈꾼다. 경기가 불황일수록 로또는 더 잘 팔린다고 하니 팍팍한 삶 속에서 어쩌면 로또는 현실을 이겨낼 수 있는 '마지막 희망'이 아닐까.

서혜영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천안 불당동 복합청사건립사업, 행안부 중앙투자심사 통과
  2. [尹파면] 6월 3일 '장미대선' 유력... 정치권 움직임 분주
  3. [尹파면] 막 오른 조기대선, 충청 현안 공약화 '발등의 불'
  4. [尹파면] 개헌론 대선링 흔드나 … 행정수도 개헌 시대적 사명
  5. 순천향대천안병원, 로봇수술치료 환자 만족도 '매우 높음'
  1. 천안서북경찰서, 신학기 맞이 대학교내 불법카메라 설치 여부 점검
  2. [尹파면] 전원일치 인용에 충청 시도지사 "존중"
  3. "이제는 안정과 화합이다" 지역민 목소리
  4. 한기대, 교내 중앙공원에서 식목 행사
  5. 천안시, 전국최초 버스 운수종사자 '친절수당' 도입으로 서비스 혁신 나서

헤드라인 뉴스


조기대선 6월 3일로 잠정결정…정식 후보자 등록 5월 11일

조기대선 6월 3일로 잠정결정…정식 후보자 등록 5월 11일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지난 4일 헌법재판소의 판결로 파면되면서 대통령 선거일이 오는 6월 3일로 잠정 확정됐다. 정치권에 따르면 8일 열리는 정례 국무회의에서 해당 안건을 상정하고 대선일을 공식 공고할 예정이다. 헌법과 공직선거법에 따르면 헌법재판소가 대통령 탄핵을 확정한 다음 날부터 60일 이내에 대통령 선거를 치러야 하며 선거일은 50일 전까지 공고돼야 한다. 이에 따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오는 14일까지 5월 24일부터 6월 3일 사이 중 하루를 대통령 선거일로 지정해야 한다. 대선일은 통상 수요일로 규정돼 있으나..

[尹파면] 막 오른 조기대선, 충청 현안 공약화 `발등의 불`
[尹파면] 막 오른 조기대선, 충청 현안 공약화 '발등의 불'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으로 조기 대선이 열리면서 충청권 현안 공약화가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당장 60일 이내 대선을 치러야 하는 촉박한 일정 속에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 대전·충남 혁신도시 완성, 청주국제공항 활성화 등 지역의 백년대계를 이룰 중요 현안들의 공약 관철을 위한 지역 여야의 발 빠른 움직임이 요구된다. 4일 헌법재판소의 윤 전 대통령에 대한 파면 결정으로 조기 대선은 현실화됐다. 대통령 궐위 시 60일 안에 대선을 치러야 한다는 공직선거법에 따라 6월 3일이 조기 대선일로 거론되는 중이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

[尹 파면] 대전 소상공인·외식업계 경제 활성화 실낱같은 `기대감`
[尹 파면] 대전 소상공인·외식업계 경제 활성화 실낱같은 '기대감'

대전 소상공인·외식업계가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결정 이후 그간 침체된 지역경제 활성화에 대한 기대감을 내비치고 있다. 2024년 12월 3일 비상계엄 선포 이후 정국 혼란의 불확실성이 해소되며 그간 회식 예약이 현저하게 줄어든 상황을 탈피하고, 경기가 좋아질 것이란 실낱같은 희망을 걸고 있다. 6일 지역 소상공인과 외식업계 등에 따르면 비상계엄 선포 이후 4개월여간 이어진 혼란 불확실성이 다소 해소됐다는데 안도하는 분위기다. 실제 2024년 12월 3일 비상계엄이 선포된 이후 지역 자영업자들은 손님이 전보다 줄어 울상..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윤석열 대통령 파면에 기뻐하는 시민들 윤석열 대통령 파면에 기뻐하는 시민들

  • ‘윤석열을 만장일치로 파면하라’ ‘윤석열을 만장일치로 파면하라’

  • 친구들과 즐거운 숲 체험 친구들과 즐거운 숲 체험

  • 한산한 투표소 한산한 투표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