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염홍철 한밭대 석좌교수 |
동양인이 쓴 서양사라고 알려진 <로마인 이야기>에서 시오노 나나미는 현재 유럽의 아이덴티티는 카이사르로부터 비롯되었다고 표현할 정도로 그를 극찬하지요.
그는 대규모 전쟁에서 승리하고 '종신 독재관'이 된 뒤에도 혁혁한 개혁을 성공시켜 로마 공화제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 사람이었습니다.
그런 그도 로마 원로원의 절반 이상이 가담한 자신에 대한 암살기도는 눈치 채지 못했습니다.
원로원 회의에 참석하러 온 그를 무참하게 살해한 사람 중에는 그의 신복이었던 브르투스도 끼어 있어서 '브루투스 너 마저'라는 유명한 말을 남기기도 했지요.
예리한 동물적 후각까지 지녔다는 그가 왜 이렇게 허망하게 당했을까요?
그는 페르시아 원정이라는 새로운 목표에 지나치게 몰입했기 때문입니다.
무엇에 몰입하는 것은 뭔가를 이루어내기 위한 긍정적 기운일 수 있지만, 그것이 지나치다보면 아무리 유능한 사람도 사고의 객관성을 잃는다는 교훈을 우리에게 주고 있습니다.
정치나 사업에서 갑자기 크게 이룬 사람들은 카이사르가 주는 교훈을 항상 명심해야 되겠습니다. 한밭대 석좌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