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펫book] “반려동물? 요즘엔 내가 대세라고양~” 고양이 키우는 이유는?

  • 문화
  • 펫 book

[펫book] “반려동물? 요즘엔 내가 대세라고양~” 고양이 키우는 이유는?

  • 승인 2018-07-17 17:54
  • 수정 2018-07-17 18:01
  • 서혜영 기자서혜영 기자
냥11
집에서 반려동물을 키운다고 하면 대부분 제일 먼저 강아지를 떠올릴 것이다. 하지만 강아지의 인기를 위협하는 동물이 나타났으니 바로 '고양이'다. 2010년 이후 서서히 인기를 끌던 고양이는 어느새 반려묘 인구 300만명을 넘어서며 반려동물의 대명사가 됐다. 그렇다면 이들은 왜 고양이를 선택했을까?

많은 사람들이 가장먼저 꼽는 고양이의 매력으로는 첫 번째로 청결함이다.

고양이는 스스로 화장실을 가리며 매우 깨끗해 냄새가 적다. 고양이는 전용 모래만 사다주면 따로 배변훈련을 하지 않아도 혼자 볼일을 본다. 또한 스스로 털을 핥고 정리하는 그루밍을 끊임없이 해서 늘 깨끗한 편으로 목욕을 자주 시킬 필요가 없다.

두 번째로는 고양이는 독립성이 강하다.
고양이는 개에 비해 상대적으로 외로움을 덜 타며 사람의 손길을 많이 필요로 하지 않는다. 반려동물을 키우는 1인가구가 증가하면서 집에 혼자 남는 반려동물을 걱정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고양이는 잠이 많고 독립적이어서 오랜시간 혼자 두고 외출해도 외로움을 덜 느낀다.



871927734

세 번째로 고양이를 키우면 건강에 좋다.
미국 미네소타 대학 뇌졸증 센터에서 조사한 연구 결과에 의하면 고양이 주인들이 고양이를 키우지 않는 사람들보다 심장병을 앓을 가능성이 무려 30%나 낮았다고 한다. 또한 최근의 연구에서는 고양이와 함께 살면 혈압이 낮아진다는 사실이 입증되기도 했다. 이는 모든 반려동물이 그렇겠지만 고양이와의 스킨십을 통해 정서적으로 안정을 찾고 위로를 받기 때문으로 해석되고 있다.

네번쩨로는 고양이는 우울증에도 도움을 준다.

목을 울리며 갸르릉대는 소리(일명 골골송)는 사람의 마음을 진정시켜 준다. 그래서 비반려인들 사이에서는 심리적 안정을 유도하는 자율감각쾌락반응(ASMR) 음원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개와 고양이의 특징 때문에 고양이를 정신과 의사, 개는 외과 의사라도 부르기도 한다.

다섯번째로 고양이는 조용하다.
활동량이 많고 잘 짖는 성격의 개에 비해 고양이는 사뿐사뿐 걷고 소음과 활동량이 적어 실내에서 기르기가 좋다. 그래서 몸이 불편한 노년층에게도 적합하다. 강아지처럼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아 작은 아파트나 원룸 등 좁은 실내에서도 잘 키울 수 있다.

조심스럽고 도도한 성격의 고양이는 친해지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걸린다. 하지만 고양이의 마음을 얻게 된다면 어느새 다가와 애교를 부리는 고양이의 매력에 심쿵하게 될 것이다.

"웰컴 투 고양이 월드~"

서혜영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2025 자전거 타고 '행복도시 명소' 투어....4월 26일 열린다
  2. 박수현 "세종 행정수도 서울 경제수도…李 의지확고"
  3. K리그1 1·2위 맞대결…19일 대전하나시티즌vs김천 상무
  4. 세종 아파트값 1년 5개월만에 상승 전환… '대통령실 이전' 기대감 향후 상승 관측
  5. [박현경골프아카데미]백스윙 어깨 골반 회전! 당기서, 누르고, 돌려주세요
  1. 충남산림자원연구소 매각부지 활용안 찾는다
  2. 천안검찰, 2만5000원에 롤 계정판매 사기 혐의 '벌금 50만원' 구형
  3. 대전교통공사, 장애인의날 교통약자이동지원차량 무료운행
  4. 책 읽기 좋은 날
  5. 세종충남대병원 서정호 교수, 학대예방경찰관 대상 교육 실시

헤드라인 뉴스


이재명 "일단 용산 다음은 靑…" 발언에 충청반응 싸늘

이재명 "일단 용산 다음은 靑…" 발언에 충청반응 싸늘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집권 시 일단 용산 대통령실을 집무실로 쓸 수 밖에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다음 단계로는 청와대를 신속히 보수해 들어가고 최종적으로는 개헌을 전제로 세종시로 이전하겠다는 뜻을 덧붙였다. 6·3 조기대선 정국에서 차기 대통령 집무실 위치가 뜨거운 화두로 오른 가운데 그가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입장을 밝힌 건 이번이 처음으로 주목된다. 이 후보는 18일 오후 MBC 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자 토론회에서 나와 '만일 당선되면 대선 직후 대통령 집무를 어디로 시작할 것이냐'는 김경수 경선 후..

문턱 더 낮아진 재개발·재건축…대전 노후아파트 재건축 활로 기대
문턱 더 낮아진 재개발·재건축…대전 노후아파트 재건축 활로 기대

국토교통부가 재개발·재건축 사업을 기존보다 쉽게 추진할 수 있도록 각종 규정을 조정한다. 재개발 정비구역 지정요건에 무허가 건축물을 포함하고, 재건축진단(옛 안전진단)은 세부평가 항목을 늘려 노후 아파트의 재건축 문턱을 낮추는 게 골자다. 대전에서도 노후아파트 재건축 추진 움직임이 최근 활발해지고 있는 만큼, 관련 절차 진행에도 활로가 뚫릴 수 있을지 주목된다. 국토부는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시행령' 하위법령 개정안을 18일부터 다음 달 28일까지 40일간 입법 예고한다고 발표했다. '주택 재건축 판정을 위한 재건축진단 기준' 하..

대전시 "전국유일 결혼·출산 지표반등…청년이 살고싶은 도시"
대전시 "전국유일 결혼·출산 지표반등…청년이 살고싶은 도시"

대전시가 저출산과 지방소멸 등 국가적 위기 속 전국에서 유일하게 결혼과 출산 지표가 반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시의 기업유치 및 다양한 청년 우선 정책이 빛을 발한 것으로풀이된다. 대전시에 따르면 과거의 대전은 교통과 주거 등 인프라 측면에서 살기 좋은 도시라는 이미지가 짙었다. 그러나 지금 대전은 행정당국의 '기업 유치-대전 정착-결혼-육아-노인 복지'로 선순환 정책이 자리를 잡으면서 청년 세대에게 '살고 싶은 도시'라는 비전을 제시할 수 있는 도시로 성장했다. 대전 청년 정책의 효과는 통계 지표에서도 명확히 드러난다. 통계청의..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과학을 즐기자’…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인산인해’ ‘과학을 즐기자’…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인산인해’

  • 책 읽기 좋은 날 책 읽기 좋은 날

  • ‘가방은 내가 지켜줄께’ ‘가방은 내가 지켜줄께’

  • ‘느려도 괜찮아’, 어린이 거북이 마라톤대회 ‘느려도 괜찮아’, 어린이 거북이 마라톤대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