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만사] 닮은 역사 다른 현재

  • 오피니언
  • 기자수첩

[세상만사] 닮은 역사 다른 현재

  • 승인 2018-07-16 17:11
  • 신문게재 2018-07-17 21면
  • 이재진 기자이재진 기자
독일과 일본은 비슷한 역사를 가지고 있지만 제2차 세계전쟁 전후를 기점으로 전혀 다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이에 한국 국민들은 독일이 유태인 대학살과 제2차 세계전쟁에 대한 진정한 사과와 반성을 했듯이 일본도 일제강점기 시절의 범죄들에 대해 진정한 사과를 바라고 있다.

최근 TV 예능 프로그램인 '꽃보다 할배 리턴즈'는 두 번째 이야기에서 독일 베를린 첫 여행지로 홀로코스트 메모리얼을 찾아가 추모하는 모습이 방송됐다.

이날 배우 신구는 콘크리트 비 아래의 추모 공간을 돌아보며 "어떻게 그렇게 남아있는지 모르겠어요. 살인 현장의 사진들이, 끔찍해"라며, "그래도 독일 사람들은 전 세계를 상대로 사죄를 했잖아요, 그런 모습을 보면서 우리도 그런 과정이 한 번은 있었으면 좋지 않았나 하는 아쉬움이 있어요"라고 말했다.

이 말을 듣는 순간 제2차 세계전쟁 후 독일과 일본의 행보에 대한 생각을 하게 됐다. 독일은 제2차 세계대전까지 유태인들을 학살하는 등 많은 범죄를 저질렀다. 독일은 범죄에 대해 숨기지 않고 그대로 드러냈으며, 동시에 사과와 전쟁에 대한 보상금을 여러 국가들에게 자발적으로 지급했다. 특히, 빌리 브란트 총리 시절 폴란드 바르샤바 게토 유대인 추념비를 찾아가 눈물을 흘리며 참회의 무릎을 꿇은 사건은 많은 화제를 불러 일으켰다. 이렇듯 독일은 사과와 반성으로 현재에 이르러 유럽 강국으로 우뚝 설 수 있었다.



반면, 일본은 한국, 중국의 자원들을 강탈하고 위안부 등 수많은 피해를 주었다. 하지만 제대로 된 사과와 보상이 이뤄지지 않아 한국 국민들에게 많은 비난을 받고 있다. 두 국가는 후손들에게 뼈아픈 역사를 알리기에도 차이를 보였다. 독일은 제2차 세계전쟁의 역사에 관해 정확한 진실을 교과서에 담아 학생들에게 알리는 반면, 일본은 교과서에 생활·민중사 위주가 아닌 정치사나 지배층 위주로 대부분 서술 했다. 전쟁범죄에 대해 가해의 주체와 규모 등을 분명하게 명시하지 않았으며, 일본이 자행한 전쟁범죄의 모습보다는 원자폭탄과 학동의 집단소개, 연합국의 공습 등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서술해 자국민의 피해를 부각시키고 있다.

지난 2015년 박근혜 정부 시절, 일본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한·일 위안부 협상 합의를 맺었다. 그러나 합의 이후 일본 의원의 망말과 교과서에서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 삭제 등 진정성 논란이 제기됐다.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에게 또한번 상처를 줘 한국 국민들에게 비난을 받았다.

이렇듯 닮은 역사를 가진 독일과 일본은 과오에 대한 대처 방법에 따라 전혀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 현재 위안부 피해 할머니의 생존자 수는 27명.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이 1명이라도 살아 계실 때 일본이 독일처럼 진정한 반성과 사과로 함으로써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이 조금이나마 짐을 덜고 웃음꽃이 피길 간절히 바란다.
이재진 기자 woodi313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둔산 리빌딩’…대전 둔산 1·2지구, 재건축 움직임 본격 시동
  2. 대전 치매환자 등록률 46% 전국광역시 '최저'…돌봄부담 여전히 가족에게
  3. '산불 복구비 108억, 회복은 최소 20년'…대전·홍성 2년째 복구작업
  4. 아이 받아줄 사람 없어 '자율 귀가'… 맞벌이 학부모 딜레마
  5. 금강환경청, 자연 복원 현장서 생태체험 참여자 모집
  1. "방심하면 다쳐" 봄철부터 산악사고 증가… 대전서 5년간 구조건수만 829건
  2. [썰] 군기 잡는 박정현 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
  3. [기고]대한민국 지방 혁신 '대전충남특별시'
  4. 기후정책 질의에 1명만 답…대전 4·2 보궐선거 후보 2명은 '무심'
  5. 보은지역 보도연맹 희생자 유족에 국가배상 판결 나와

헤드라인 뉴스


돌아오는 충청권 의대생들… 모집인원 동결 이번주 판가름

돌아오는 충청권 의대생들… 모집인원 동결 이번주 판가름

의과대학 학생들이 집단휴학을 철회하고 학교에 복학을 신청하면서 의학교육이 1년 만에 기지개를 켜고 있다. 교육부는 학생들이 실제 수업에 참여하는지 살펴보고 복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고 밝혀 이번 주 의대정원을 증원 전으로 돌리느냐 중요한 시간이 될 전망이다. 정부가 정한 의대생 복귀 시한인 31일 전국 대다수 의대가 등록을 마감한 가운데 대전과 충남·북의 의대에서도 대체로 학생들이 복귀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충남대 의대는 3월 30일 복학 신청 접수를 마감했으나 몇 명의 학생들이 복학했는지 아직 공표하지 않고 있다. 당초 2월 2..

케이크 가격 4만원대?... 생일 초 불기도 부담되네
케이크 가격 4만원대?... 생일 초 불기도 부담되네

소비자 물가가 고공행진하고 있다. 식품·외식업계 가격 인상이 계속되면서 케이크 가격도 4만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월 31일 해당 업계에 따르면, 투썸플레이스는 최근 커피와 음료, 케이크 가격을 올렸다. 케이크 가격은 2000원 올리고 조각 케이크는 400원 인상했다. 이에 따라 스트로베리 초콜릿 생크림(스초생)은 3만 7000원에서 3만 9000원이 됐다. 스초생 2단 제품은 4만 8000원이다. 딸기 생크림은 3만 6000원이고 클래식 가토 쇼콜라 가격은 4만원이다. 조각 케이크는 생딸기 우유 생크림은 9500원으로 1..

대전시, 자전거고속道 구축 필요성 고개…단절구간 많아 교통분담 제자리
대전시, 자전거고속道 구축 필요성 고개…단절구간 많아 교통분담 제자리

탄소 중립을 위한 대표적 교통수단인 자전거 이용을 높이기 위해 대전시가 '자전거 고속도로망' 구축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10년간 자전거 도로는 크게 증가했지만, 단절 구간이 많아 교통 분담률이 크게 늘지 않았는데 이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31일 대전세종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대전시 자전거 고속도로 도입을 위한 기본구상 연구' 보고서를 보면 대전의 자전거도로 총연장은 2023년 기준 937㎞로 2010년 586.9㎞ 보다 60% 가까이 증가했다. 하지만, 자전거 분담률은 1.85%(2021년 기준)로 여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3색의 봄 3색의 봄

  • ‘안 오르는 게 없네’…라면, 우유, 맥주 4월부터 인상 ‘안 오르는 게 없네’…라면, 우유, 맥주 4월부터 인상

  • 꽃샘추위 이겨낸 야구 열기…한화생명 볼파크 세 번째 매진 꽃샘추위 이겨낸 야구 열기…한화생명 볼파크 세 번째 매진

  • ‘어떤 나무를 심을까?’ ‘어떤 나무를 심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