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전은 하차태그가 필수가 아닌 선택이라 버스 하차 시 부담이 없어 보였다. 내려야 할 정류장이 다가오면 사람들 사이를 뚫고 어떻게든 하차태그를 하고자 카드단말기에 필사적으로 발을 내딛는 서울의 모습은 온 데 간 데 없었다. 그런데 대전시가 내달부터 하차태그 의무제를 시외 노선버스에 시행한다고 한다. 일부 요금손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함이란다. 장기적으로는 전체 시내 노선까지 확대 도입한다. 단순히 대전시의 버스 요금 관리 체계를 위해서 시민들이 불편을 감수해야만 하는 것인지 의문이 들 수밖에 없다.
답은 서울이 왜 '하차태그 의무제'를 전 노선에 시행하는지 살펴보면 나온다. '지옥철', '지옥 버스'로 입구까지 승객이 가득 차 교통카드를 찍기도 버거운 곳에서 도입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다름 아닌 빅데이터 때문이다. 승하차 태그 자료가 있으면 이용객 통행패턴을 분석해 효율적인 버스 노선 정립이 가능하다. 승차 자료 하나만으로는 분석이 어려워 대전은 그동안 조사원에 의한 표본조사 결과에 의존해왔다. 현재 대전의 하차 태그율은 47%에 지나지 않는다. 이러한 상황에선 수요와 다르게 노선이 정립될 수밖에 없으며 그 불편은 고스란히 대전 시민들에게 돌아가고 있다.
실제로 네이버 길 찾기에서 서구 둔산동에 위치한 대전지방경찰청에서 같은 구 도안동으로 가는 법을 검색해보면 차량으로는 15분 밖에 걸리지 않지만 버스로는 1시간 21분이 걸린다고 나온다. 걸어서는 1시간 50분이다. 결과적으로 나의 출퇴근길에 버스가 많이 다니려면, 환승 없이 우리 마을로 한 번에 가는 노선이 생기길 원한다면 교통카드를 이용해 하차태그를 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잠시의 귀찮음이 대전시 대중교통 체계 전체를 이롭게 한다.
전유진 사회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