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천군, 불법 주방용 오물분쇄기 사용금지 당부

  • 전국
  • 충북

진천군, 불법 주방용 오물분쇄기 사용금지 당부

  • 승인 2018-05-31 09:36
  • 정태희 기자정태희 기자
진천군 상하수도사업소는 31일 환경부 기준을 벗어난 불법 주방용 오물 분쇄기 사용 근절에 적극 협조해줄 것을 적극 당부했다.

불법제품을 사용하면 옥내 배수관이 막혀 오수가 집안 또는 이웃집으로 역류하거나 악취가 발생할 수 있으며, 과다한 오염물질 유입으로 하수처리장 운영에 지장을 주거나 하천이 오염될 수 있다고 군은 설명했다.

현행 주방용 오물분쇄기 중 주방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찌꺼기 등을 분쇄하여 오수와 함께 배출하는 기기는 판매·사용이 금지되어 있다.

다만, 음식물 배출을 늘리기 위해 임의로 조작할 수 없는 일체형이고 음식물찌꺼기를 20%미만만 하수도로 배출된다고 인증기관에서 인증을 받은 제품은 일반가정에서 판매·사용이 가능하다.



상사수도사업소 관계자는 "판매와 사용이 허용된 주방용 음식물 분쇄기에는 환경부 등록번호, 모델명, 인증일자, 사업기관 등의 등록표시가 되어 있으므로 주방용 오물 분쇄기 구입 시 인증제품 확인 등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며 "인증제품의 경우라도 설치된 거름망을 제거하는 등 개조나 변조 시 처벌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진천=정태희 기자 chance091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설동호 교육감, 국회 교육위 출석해 사과… 질타 잇따라
  2. 무기력·신분불안 느끼는 교사들 "교사 의견 수렴 없이 졸속·탁상 대책 마련하고 있어"
  3. '사교육카르텔' 교원 249명 문항거래로 213억 챙겨…대전서도 2건 확인
  4. ‘장 담그기 좋은 날이네’
  5. 교육부 대전교육청 감사… 긴급 분리·조치 등 신설 골자 '하늘이법' 추진
  1. 80돌 맞는 국립중앙과학관 2025년 전시·체험·강연 연간일정 공개
  2. 대전소방, 대전시립박물관 화재안전 점검
  3. [대전교육청 직속기관 돋보기] 대전교육연수원 변화와 성장으로 미래교육 '앞장'
  4. [춘하추동]봄비, 생명의 물줄기를 기다리며
  5. 경찰 "대전 초등생 살해 교사 계획범죄 무게 두고 수사 중"

헤드라인 뉴스


철도지하화 선도 사업 첫 타자 `대전 조차장역` 선정

철도지하화 선도 사업 첫 타자 '대전 조차장역' 선정

대전시의 숙원인 조차장역 철도 지하화 사업이 정부 선도사업으로 선정됐다. 대규모 자본이 투입되는 철도 지하화 사업을 통해 침체 됐던 건설 경기와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도모할 것이라는 기대를 모으고 있다. 정부는 19일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열린 민생경제 점검회의에서 '지역 건설경기 보완 방안'을 발표하고, 철도 지하화 선도사업 대상 지역을 최종 확정했다. 얼어붙은 지방 건설경기를 녹이고 지역 경제를 살리기 위해 철도 지하화 사업 카드를 꺼내든 것이다. 이번에 선정된 구간은 대전과 부산, 안산이다. 철도 지하화는 도심 한가운데를 가로..

"충남·세종 건설공사 기성액 늘었지만 중소건설사는 난항 지속"
"충남·세종 건설공사 기성액 늘었지만 중소건설사는 난항 지속"

2024년도 세종과 충남 건설공사 전체 기성액이 2023년도에 비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위 건설사들의 약진이 반영된 결과로, 중소 건설사들의 어려움은 이어지고 있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19일 대한건설협회 충청남도회·세종시회에 따르면 충남 지역건설사의 전체 기성액은 지난해 4조9448억원 보다 2389억(4.8%) 증가한 5조1837억원으로 집계됐다. 업체별로 살펴보면, 충남의 경우 경남기업(주)이 3869억원으로 1위를 기록했으며, 활림건설(주)이 1922억원을 신고하며 2위, 해유건설(주)이 1870억원을 신고하며..

최근 5년 충남 주택화재 감소에도 사상자는 증가
최근 5년 충남 주택화재 감소에도 사상자는 증가

최근 5년새 충남지역 주택 화재는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나, 사상자는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도 소방본부에 따르면, 최근 5년(2020∼2024년) 간 도내에서 발생한 주택 화재는 총 2612건으로 집계됐다. 2020년 556건, 2021년 542건, 2022년 526건, 2023년 473건으로 감소하다 지난해 515건으로 소폭 늘었다. 주택 화재에 따른 사상자는 총 180명으로 2020년 26명, 2021년 21명, 2022년 43명, 2023년 42명, 지난해 48명으로 증가했다. 사망자(총 54명)는 2020년 12..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봄이 오고 있어요’ ‘봄이 오고 있어요’

  • ‘해빙기, 위험시설물 주의하세요’ ‘해빙기, 위험시설물 주의하세요’

  • ‘장 담그기 좋은 날이네’ ‘장 담그기 좋은 날이네’

  • 인도 점령한 이륜차와 가게 홍보판 인도 점령한 이륜차와 가게 홍보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