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의 경우 정부 계획안 대로 이전을 추진한다는 입장이지만 이들 기관들의 이전으로 지역사회 침체 등을 우려한 지자체의 반발도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세종시 역시 지자체의 반발로 기관 이전이 무산되거나 지연될 경우 당초 도시조성계획에도 차질을 빚을 수 있어 정부 방침에 촉각을 세우고 있다.
세종시 이전으로 가장 논란을 빚고 있는 것은 서울에 위치한 국립민속박물관 이전이다.
서울용산공원내 문화체육관광부 부지로 옮기려던 당초 계획이 부지 협소와 매입비 등의 문제로 세종시 국립 박물관단지로 가닥이 잡히면서 박원순 서울시장을 비롯해 용산구청 등이 나서 서울시 잔류를 요청하고 있다.
박 시장은 올초 열린 자치구 신년인사회에서 "지방균형이 당연히 있어야 되지만, 그래도 국립(중앙)박물관과 국립민속박물관은 (서울에) 있어야 한다"며 "국립민속박물관이 세종시로 내려가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역사박물관특구 지정을 추진중인 용산구도 국립민속박물관의 세종시 이전 계획의 재고를 요청중이다.
과천에 위치한 과기정통부의 세종시 이전을 놓고도 과천시가 반발하며 진통을 겪고 있다.
과천시는 이미 세종시로 14개 기관 6000여명이 이전하면서 도시 공동화와 지역경체 침체기를 겪고 있다며 과기부의 시민권기대회등 세종시 이전에 대해 전면적인 반대운동을 한다는 방침이다.
각 지자체의 반발의 거세지면서 세종시도 당혹스럽다는 입장이다.
행정수도 완성을 위해서는 핵심기관인 행안부와 과기부의 이전과 함께 국립박물관단지의 건립이 본격화 돼야 하는 만큼 지자체들의 반발이 계획 수정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닌지 우려하고 있다.
여기에 원칙적인 이전만 강조하다 자칫 지역이기주의로 비춰질 경우 행정수도 건설에 역풍으로 이어질수 있어 조심스럽다.
시민사회단체 관계자는 "기존 부처(기관)가 지역사회에 끼친 유무형의 영향력이 적지 않은 만큼 지자체 입장에서는 쉽게 포기할수 없을 것"이라며 "다만 이같은 목소리가 관철될 경우 추후 이전계획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지 우려된다"고 밝혔다.
세종=오희룡 기자 huil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