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다수 국회의원의 출마는 기호 1번 사수는 물론, 정국 주도권과도 직결되는 문제다. 일각에서 현역 의원이 후보 공천을 신청할지는 끝까지 지켜봐야 안다는 얘기가 나도는 것도 여기서 기인한다.
현재 민주당에서 광역단체장 등 지방선거 후보 출마를 선언했거나 자천타천으로 출마가 거론되는 현역 의원은 최대 20명에 달한다. 충청권만 봐도 양승조 의원(천안병)과 오제세 의원(청주 서원)이 충남지사와 충북지사 후보 출마를 각각 선언했고, 이상민 의원(대전 유성을)은 사실상 대전시장 후보 출마를 염두에 둔 행보를 펼치고 있다. 의원들이 광역단체장에 눈을 돌린 것은 문재인 대통령과 당 지지율이 고공행진을 보이며 ‘경선 승리=당선’이라고 판단한 데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
문제는 민주당이 보유한 의석수가 압도적이지 못한 ‘여소야대’ 상황에서 기인했다.
의원들이 대거 출마할 경우, 원내 1당 지위를 내려놓을 상황에 부닥칠 수 있는 것만 아니라 하반기 원 구성 협상에서도 부정적인 사태를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는 의미다.
여당인 민주당과 자유한국당 간 의석 차이는 3석.
무소속 이정현 의원(전남 순천)과 대한애국당 조원진 의원(대구 달서병)이 향후 한국당에 합류 또는 우호적 행보를 보일 경우, 주요 법안 처리 과정에서의 의석 차이는 단 1석에 그친다. 지방선거에 출마하는 의원 숫자에 따라 원내 1당이 달라질 가능성이 있다. 반면, 한국당 의원들의 출마 기류는 잠잠해지고 있다.
그래서 중앙당의 고민도 깊어지는 분위기다.
김영진 전략기획위원장은 지난 24일 의원들의 지방선거 출마로 원내 1당 지위가 위협받는 것에 대해 “선거에 나가는 분들도 이를 고민하고 판단해 대응해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이날 기초단체장 출마에 대해서만 원칙상 금지라고 했지만, 그가 문재인 정부 후반기에 중요 과제로 개혁과제 입법화 및 정책예산 통과를 꼽은 뒤 “출마하는 의원은 문 정부의 성공을 위해 의원으로 도움을 줄 것인가, 지방선거 당선으로 기여할 것인가 고민해야 한다”고 한 것은 우회적으로 출마 자제를 택해달라는 요청으로도 풀이된다. 그만큼 당내 의원 가운데 광역단체장에 나선 후보가 적잖아 선당후사 차원에서 자제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불거지고 있는 셈이다.
고민의 이유는 또 있다.
공천 실무를 담당하는 사무부총장직의 임종성 의원(경기 광주을)은 25일 기자와 만나 “너무 많은 의원이 지방선거에 나서게 되면 재보궐 선거 발생에 따른 비용 문제, 임기를 온전히 마치지 않고 중도 사퇴한 것 등에 당에 비판 여론이 생겨날 수 있다”면서 “재보궐 선거 비중이 커지면 여당으로서 가지게 되는 부담도 그만큼 커지게 된다. 가능한 당에서는 출마하지 않도록 권유하고 설득할 것”이라고 했다.
실제 4년 전인 6·4 지방선거 당시 여당이었던 자유한국당은 현역 의원의 출마가 바람직하지 않다며 여론조사 지지율이 높다는 것도 명분이 될 수 없다며 자제를 촉구했었다.
황우여 당시 대표는 “현역 국회의원이 출마하게 되면 국회도 불안정해지고 보궐 선거구가 늘어나기 때문에 비용도 많이 들어 바람직하지 않다. 현역 의원은 최대한 차출하지 않는 방향으로 하자”고 했다.
그러나 민주당 현역 의원들의 출마 의지가 강해서 당의 바람대로 철회 또는 뜻을 굽힐지는 미지수다.
강우성 기자 khaihideo@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