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지표조사 및 조성사업 연구' 정서상태(행복한) 평가 결과./충남도교육청 제공. |
도교육청에 따르면 충남 학생들은 행복함에 대한 긍정응답에서 1위 외에도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 2위(7.3점/전국평균 6.97), 편안함에 대한 긍정응답 2위(3.74/3.6), 교사관계 만족도 2위(3.83/3.67), 교육과정 만족도 2위(3.55/3.43), 즐겁다는 긍정응답 3위(4.05/3.96), 징계소명권 3위(3.5/3.37), 학칙개정권 3위(3.62/3.45) 등 이번 조사 항목 중 주관지표 9개 영역 상당수 항목에서 좋은 평가를 내렸다.
상위권을 차지한 충남 학생들의 응답점수는 2015년과 2016년과 비교했을 때 점차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도 나타났다. 행복하다는 응답은 2015년 3.73점에서 2016년 3.99점, 지난해 4.06점으로 높아졌다. 교사관계 만족도 역시 2015년 3.57점, 2016년 3.7점, 지난해 3.83점으로 높아졌다. 교육과정 만족도는 2015년 3.33점, 2016년 3.54점, 지난해 3.55으로 집계됐다.
이번 연구는 지난해 5월부터 7월까지 전국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 학생 9022명을 대상으로 주관적 웰빙영역, 관계영역, 교육영역 등 9개 주관지표에 대해 설문조사를 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다.
충남에서는 382명의 학생이 표본으로 설문조사에 참여했다. 연구에서는 건강영역, 안전영역 등 7개 객관지표의 경우 행정통계, 통계청의 사회조사 등의 자료를 활용해 분석을 실시했다.
정황 도교육청 기획관은 "조사가 가정과 친구, 학교라는 전체적인 환경 요인에 따른 답변이라는 점에서 교육부문만 따로 떼기는 쉽지 않지만 교사관계와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점은 매우 고무적"이라며 "충남교육청이 인권과 민주적 학생 자치가 이뤄지는 학교, 학생들의 꿈과 끼를 찾을 수 있는 참학력과 진로진학교육에 매진한 결과로 생각하며 앞으로도 학생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찾아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내포=유희성 기자 jdyhs@
![]()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지표조사 및 조성사업 연구' 교육과정 만족도 평가 결과./충남도교육청 제공. |
![]()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지표조사 및 조성사업 연구' 교사관계 만족도 평가 결과./충남도교육청 제공.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