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하는 것도 좋지만 치열하게 쉬는, 아니 '노는 것' 역시 현명한 스트레스 해소법이란 생각이다. 다행히 집에서 멀지 않은 곳에 우암 송시열 선생의 유적인 '남간정사'가 있다. 소풍의 개념으로 여길 즐겨 찾는데 '남간정사' 라는 이 고택(古宅)의 바로 앞에는 작은 연못까지 조성돼 있어 고즈넉의 압권이다.
하지만 여길 그렇게나 자주 찾았으되 그저 주마간산(走馬看山)으로 지나치기만 했을 따름이었지 학문적 접근으로서의 고찰은 없었다. 따라서 아쉬움이 적지 않았는데 최근 이와 연관된 전문도서를 접할 수 있어 적이 반가웠다.
[고택의 門을 열다](모두의 책 출간)는 충청권 대표매거진인 '월간 청풍'에서 10년간 글을 써온 다헌(茶軒) 송은애 시인의 발과 땀으로 일궈진 현장 르포 역작(力作)이다. 여기엔 우암 송시열의 유적인 남간정사를 필두로 '동춘당'과 '송자 고택', '대전 숭현서원'에 이어 '추사 고택'과 '진천 신헌 고택'이 오랜 기간의 잠을 멈추고 숨겨졌던 역사까지를 덩달아 기지개 켜게 한다.
이밖에도 이 책에 등장하는 고택은 다음과 같다. ▲청원 과필헌 고택 ▲파평 윤씨 서윤공파 고택 ▲논산 명재(윤증) 고택 ▲이삼 장군 고택 ▲사계(김장생) 고택 ▲이남규 고택 ▲민칠식 가옥 ▲공주 선교사의 집 ▲충남도지사 관사촌(대전) ▲옥천향교 ▲윤황 고택 ▲김씨 고택(국내 유일의 내시 고택)이다.
다음으론 ▲문헌서원 ▲취백정 ▲돈암 서원 ▲함양 개평마을 ▲제월당&오월재 ▲허삼둘가옥 ▲창평 춘강 고정주 고택 ▲장전 이씨 고택 ▲쌍청당 ▲동해 진사댁 ▲봉소루 ▲군산 히로쓰 가옥 ▲서천 이하복 가옥 ▲대전 이사동지구 ▲덕천군파 사옥 ▲사운 고택 ▲운조루 ▲경북 영주 만죽재 고택 ▲충북 옥천 이지당 ▲부여 정계채 가옥 ▲송용억 가옥 ▲논산 종학당 ▲세종시 유계화 가옥…….
그야말로 전국의 모든 고택을 모두 이 한 권에 담고 있다. 개인적 견해이긴 하되 필자는 마치 성냥갑과도 같아서 답답한 아파트보다는 단독주택을 선호한다. 그 주택이 멋진 고택이라고 한다면 금상첨화다.
저자는 이 책의 프롤로그에서 처음에는 대전과 충남, 충북을 돌며 순차적으로 고택을 취재해 글을 쓰기로 계획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대전충청권에서는 송시열 선생 이야기를 빼면 더 이상 쓸 스토리가 없을 정도였기에 이를 전국적으로 확대했다고 한다.
하기야 조선왕조실록에 그 이름이 무려(!) 3,000번 이상이나 오를 정도로 당대에 학문적, 정치적으로도 그 위상과 족적이 또렷했다는 우암이었으니 더 말해 무엇하랴만. 다만 작금에 와서는 그 우암 송시열에 걸맞은 인물과 인재가 없어 답답하기 그지없는 시절이다.
따라서 그저 실망만이 물참(밀물이 들어오는 때)으로 가득 채워짐에 속이 몹시 상하다. 우리는 어쩌면 '희망'이란 단 한 방울도 없는 암울한 시기를 살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거듭되는 북한의 핵 도발 협박과 그러나 외세에 의지할 수밖에 없는 우리의 자주국방의 무위(無爲)에 따른 허탈감 등은 이 같은 푸념의 과녁이다.
어쨌거나 그렇다고 해서 절망의 늪에만 함몰되어선 안 될 일이다. 추석 연휴에 아이들이 집에 온다고 했으니 이 책을 길라잡이 삼아 '전주 한옥마을'이라도 함께 보고 왔음 좋겠다.
저자의 예리한 시선과 천착이 돋보이는, 아울러 조상의 지혜와 슬기를 문(門)을 과감히 열어젖힌 [고택의 문을 열다]는 자녀의 역사공부에도 일익을 담당할 수 있음에 일독을 권한다.
"가을 우체국 앞에서 그대를 기다리다 ~ 노오란 은행잎들이 바람에 날려가고 ~ 지나는 사람들 같이 저 멀리 가는 걸 보내 ~" 윤도현의 <가을 우체국 앞에서>이다. 떠나가는 여름을 배웅하는 가을 우체국 앞에서 이 책을 읽는 맛도 쏠쏠하다.
홍경석 / <경비원 홍키호테> 저자 & <월간 오늘의 한국> 대전·충청 취재본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