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ㆍ중 해저터널 미래 전략과제로 추진된다

  • 정치/행정
  • 충남/내포

한ㆍ중 해저터널 미래 전략과제로 추진된다

  • 승인 2017-08-01 09:50
  • 신문게재 2017-08-02 5면
  • 맹창호 기자맹창호 기자
▲ 한-중-일 해저터날 구상도. 충남도는 태안을 기점으로 격렬비열도를 거쳐 중국 산둥성 롱성까지 320km구간을 철도로 연결하는 해저터널을 미래전략과제로 제시했다.<사진 충남도제공>
▲ 한-중-일 해저터날 구상도. 충남도는 태안을 기점으로 격렬비열도를 거쳐 중국 산둥성 롱성까지 320km구간을 철도로 연결하는 해저터널을 미래전략과제로 제시했다.<사진 충남도제공>
충남 태안 ~ 격렬비열도 ~ 중국 산둥 롱성 320㎞ 구간

충남 미래사업발굴 協, 10년 이후 먹거리 4대 전략 선정

연말까지 기본구상 마련… 내년부터 사업별 로드맵 착수




충남도가 10년 후 미래 먹거리를 책임질 성장동력으로 한중 해저터널과 자율주행자동차 부품산업 등 4대 산업을 제시해 전략과제로서 추진성과에 관심이 집중된다.



충남도는 최근 미래사업 발굴협의회를 개최하고 사물인터넷(IoT)데이터 공유 플랫폼을 비롯해 ▲전기동력 자율주행자동차용 부품개발 ▲해양신산업 전진기지 ▲한중 해저터널 등 4개 사업을 전략과제로 선정했다고 1일 밝혔다.

충남도 미래사업 발굴협의회는 지난 3월 도내 130명의 전문가가 참여한 미래정책 토론회의 성과물로 5월 대학교수와 연구원, 공무원 등 관계전문가 16명으로 구성됐다. 그동안 6차례 전략회의를 거쳐 20개 분야별 미래 먹거리 사업을 발굴해 시의성과 파급력, 현실성, 차별성 등을 고려해 이번 4대 전략과제를 공개했다.

한·중 해저터널은 21세기 동북아 경제공동체에 대비한 과제로 충남 태안을 기점으로 격렬비열도를 거쳐 산둥성 롱성까지 320㎞ 구간을 철도로 연결해 양국 간 산업과 경제교류 거점을 만드는 거대 프로젝트다. 총사업비가 120조원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는 중국의 ‘일대일로’와 러시아와 일본의 철도연결 등에 한반도의 지정학적 이점으로 대응하는 것으로 한반도 신냉전 분위기에 따른 북한 변수에 영향을 받지 않는 한중 경제회랑으로 구체적 성과가 기대된다.

전기동력 자율주행자동차용 부품·소재·소프트웨어 개발은 도내 완성차 기업과 전자부품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사업으로 3D 프린팅 기반, 자율주행자동차 시험 트라이앵글 기반, 자동차용 경량소재 개발 등이 추진될 예정이다.

지역별로는 아산에서 도내 완성차기업과 디스플레이 등 전자제품 기업의 협력 강화가, 천안에서 자율주행자동차 시험과 소프트웨어 개발이, 서산에서 부품개발이, 태안에서 타이어개발이, 당진에서 경량소재 개발이 추진될 예정이다.

지정학적 이점과 전국 상위권 해양수산 세력을 활용한 해양 신산업 전진기지는 중부권 해양수산연구개발 특구지정 및 조성에 착안했다. 남부권은 현재 부산에 해양수산분야 혁신지구 조성이 완료됐다.

주요사업으로는 스마트 해상도시(아쿠아 메가 복합시티)를 비롯해 스마트 양식장, 국제수산기자재산단, 국토의 최서단인 격렬비열도의 지속가능한 이용과 관리, 국제(서해)해양환경센터, 지능형 무인선 실증센터 건립 등을 통해 충남 서해안의 비전을 앞당긴다는 전략이다.

IoT 데이터공유 플랫폼은 분야별 장치와 시스템, 서비스의 공동 플랫폼을 구축하는 사업으로 스마트 의료와 시티, 제품개발과 빅데이터 구축 지원 등을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다.

이 같은 4대 기본전략은 구체적인 추진방향을 논의해 연말까지 기본구상을 완성하고 내년부터 사업별 구체적 로드맵을 설정해 중앙정부 건의 등 사업실현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충남도 김현철 미래성장본부장은 “4대 미래 신규사업은 대내외 환경변화에 선제로 대응하는 충남의 성장 견인과제”라며 “각 사업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10년 후 충남의 먹거리가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내포=맹창호기자 mnews@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도안신도시 국가산단·트램·서남부스포츠타운 등 개발 호재로 가치 '입증'
  2. 학교 떠나는 학생들… 대전 학업중단 고교생 한해 800명 달해
  3. '석식 중단' 대전 A학교, 조리원 징계의결서 접수
  4. 이재명 이어 김동연도 "해수부 이전" … 선심성 공약 남발
  5. [사설] '세종 행정수도' 역행하는 ‘해수부 부산 이전’
  1. "최저임금 올라도 급여는 깎여" 대전 경비노동자들의 호소
  2. [사설] 소멸 위기 부여·서천, 경제 활로 '분투'
  3. [현장취재]지식의 융합과 CNU 교육의 미래
  4. 오석환 교육부 차관, 대전신탄진중서 AIDT 현장 의견 청취
  5. KAIST 뉴욕캠 이어 실리콘밸리 캠퍼스 구축한다… 글로벌 창업 인재 양성에 힘

헤드라인 뉴스


학교 떠나는 학생들… 대전 학업중단 고교생 年 800명 달해

학교 떠나는 학생들… 대전 학업중단 고교생 年 800명 달해

한해 800명에 달하는 대전의 고교생이 학교를 떠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생활에 적응하지 못하는 원인도 있지만, 대입을 위해 전략적 학업중단도 예상돼 교육시스템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3일 대전교육청에 따르면 지난해 집계된 2023학년도 학업중단 고교생은 789명에 달한다. 2019년 747명이었던 학업중단 학생 수는 코로나 영향으로 2020년 506명, 2021년 620명으로 잠시 줄었다가 2022년 757명으로 다시 늘어나는 추세다. 전체 고교생 대비 학업 중단율도 증가세를 보였다. 2019년 1.66%, 2020년 1..

진격의 한화이글스…마리한화 재가동 힘입어 관중 40% 증가
진격의 한화이글스…마리한화 재가동 힘입어 관중 40% 증가

프로야구 한화이글스가 2025 KBO리그에서 '마리한화' 모드를 재가동하며 야구 팬들을 열광케 했다. 신축구장 개장과 함께 평균 관중 수가 지난해 1만2000명에서 경기당 1만 6752명으로 증가해 10개 구단 중 관중 증가율(40%) 3위를 기록할 정도다. 한국야구위원회(KBO)는 22일 기준 잠실·수원·고척 야구장에서 열린 3경기에 총 2만 5247명이 경기장을 찾아, 올 시즌 누적 관중 200만 5317명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118경기 만에 200만 관중을 돌파한 것으로, 이는 126경기 만에 200만 관중을 동원한 201..

충청 정치, 이번 대선에서도 조연… 역할 높이는 `자강(自强)` 시급
충청 정치, 이번 대선에서도 조연… 역할 높이는 '자강(自强)' 시급

6·3 조기 대선을 한 달여 앞둔 가운데 충청 정치의 자강(自强)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지역을 하나로 묶는 구심점 역할의 대표 인물 부재, 손익 계산에 따라 대권 주자별로 각기 분파하는 충청의 정치세력 등 이번 대선에서도 충청 정치의 고질적인 특징이 재현되면서다. 충청의 정치력 증강이 결국 지역의 미래 성장과 직결하는 만큼 이제라도 정치 자강에 노력을 기울여야 할 때라는 지적이 나온다. 사실 대선 초반 정국에서 충청의 주목도는 높았다. 더불어민주당이 대선후보 선출을 위한 첫 순회경선 지역으로 충청을 택하는가 하면 대통령실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책 읽기에 빠진 어린이들 책 읽기에 빠진 어린이들

  • ‘봄꽃 구경하러 오세요’ ‘봄꽃 구경하러 오세요’

  • 사이버 위법행위 ‘꼼짝마’ 사이버 위법행위 ‘꼼짝마’

  • 집중단속 아랑곳 않고 불법투기 여전 집중단속 아랑곳 않고 불법투기 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