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양 구워먹는 치즈 '할루미' 인기

  • 전국
  • 청양군

청양 구워먹는 치즈 '할루미' 인기

두레기업 동방 대규모 납품계약… 부가가치 높고 유통기한도 길어 특산물 콩·구기자·인삼 첨가도

  • 승인 2016-08-09 13:12
  • 신문게재 2016-08-10 15면
  • 청양=이봉규 기자청양=이봉규 기자
청양군이 육성·지원하고 있는 6차산업화 경영체 두레기업인 (주)동방이 신상품 구워 먹는 치즈 '할루미'<사진>로 시장에 뛰어 들었다.

우리나라 두부를 연상시키는 치즈, '할루미'는 염소젖이나 양젖에 약간의 박하를 더했다.

높은 온도에서 튀기거나 구웠을 때 표면이 그을리기만 할 뿐 모양을 그대로 유지하는 특성이 있다.

9일 청양군에 따르면 (주)동방은 국내 피자치즈 점유율 1위 기업인 한국유업(주)과 대규모 납품계약을 체결해 앞으로 1년 간 바 형태의 치즈제품(300g)을 월 2만5000개씩 납품하게 됐다.

이곳에서 생산하는 할루미 치즈는 열에 강한 반경성 치즈로 프라이팬이나 그릴에 구우면 겉은 바삭하고 속은 말랑해져 독특한 식감과 진한 풍미를 느낄 수 있다.

2013년 충남도 농어업6차산업화 공모사업에 선정된 농업회사법인 동방은 총사업비 12억6000여만원을 투자해 플레인 요거트 가공공장과 '와이프렌디(Y-Friendy)'라는 요거트 전문 카페를 열었다.

청양의 8개 목장에서 생산되는 일일 약 10t의 원유 중에 출하쿼터를 초과하는 잉여 원유로 요거트를 가공·판매한다는 사업구상이었다.

그러나 유통기한이 짧고 물류비용이 많이 드는 요거트 사업의 성장이 더디자 동방은 부가가치가 높고 제품 사이즈가 작은데다가 유통기한도 길어 물류비용이 적게 드는 치즈산업으로 눈을 돌렸다.

그 중에서도 요즘 전주한옥마을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구워먹는 치즈 '할루미'가 향후 시장 확장성이 크다고 판단했다.

아무 재료를 첨가하지 않은 '플레인' 할루미 치즈가 대부분이지만, 동방은 청양의 특산물인 콩과 구기자를 넣어 식감과 색, 영양을 차별화한 신제품을 개발했다. 최근에는 인삼을 넣은 치즈로 소비자들의 큰 호응을 얻고 있다.

동방 관계자는 “한국유업에서 산양유치즈의 생산을 무한량 요청하고 있다. 향후 군에서 유산양(乳山羊) 산업을 전략적으로 육성하면 청양군이 전북의 임실치즈에 버금가는 치즈주산지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청양=이봉규 기자 nicon3@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인생의 수를 놓다’ 졸업식
  2. 세이브더칠드런 중부지역본부, 2025 차노을 전국투어 대전 수익금으로 지역아동센터 생활학습 환경 지원
  3. 백석대 레슬링팀, 제49회 전국대학레슬링선수권대회 '메달 싹쓸이'
  4. 이동진 건양사이버대 총장, 원대협 14대 회장 취임 “원대협법 국회통과 총력"
  5. 천안시청소년재단-이천시청소년재단 업무협약 체결
  1. 천안법원, 만취 상태서 충돌사고 내고 도주한 30대에 '징역 1년'
  2. 천안시립교향악단, 9월 3일 신진연주자 '협주곡의 밤' 개최
  3. 천안도시공사 북부스포츠센터, '시니어 트로트댄스' 조기 마감
  4. 천안동남경찰서, 동천안우체국 직원 대상 교통안전교육 실시
  5. 단편영화인과 대전시민들의 축제 개막…31일까지 엑스포시민광장서 상영

헤드라인 뉴스


李정부 첫 정기국회 돌입 충청 현안관철 골든타임

李정부 첫 정기국회 돌입 충청 현안관철 골든타임

1일부터 이재명 정부 첫 정기국회에 돌입하면서 충청 발전을 견인하기 위한 골든타임에 돌입했다는 지적이다. 행정수도특별법과 대전충남특별법 등 연내 통과는 물론 대정부질문을 통해 이재명 정부를 상대로 충청 현안 관철을 확답받을 수 있도록 지역 민·관·정 역량을 모아야 한다는 것이다. 대전 트램 등 현안 예산 증액도 이번 정기국회에서 발등의 불인데 한층 가팔라진 여야 대치로 충청 현안들이 뒷전으로 밀리는 것은 경계해야 할 지점이다. 국회는 1일 오후 2시 본회의장에서 정기국회 개회식을 열고 100일간의 대장정에 돌입한다. 같은 달 9·1..

국회·대통령실 플러스 `디지털 미디어단지` 약속은 어디로?
국회·대통령실 플러스 '디지털 미디어단지' 약속은 어디로?

세종시 누리동(6-1생활권) 입지만 정한 '디지털 미디어단지(언론단지)'. 문재인·윤석열 전 정부로 이어지면 정책 공약으로 남겨져 있으나 빈 수레가 요란한 형국이다. 당초 계획상 토지 공급은 2025년 올해였다. 2021년 이름만 들어도 알만한 수도권 일간지 4개사와 방송 7개사, 통신 1개사부터 지방까지 모두 17개사가 너도나도 양해각서만 체결했을 뿐, 실체는 온데간데 없다. 당시만 해도 '국회 세종의사당과 대통령 세종 집무실' 완공이 2027년을 향하고 있었으나 이마저도 각각 2033년, 2029년으로 미뤄져 앞날은 더더욱 안개..

여야 대전시당, 내년 지방선거 앞 `잰걸음`
여야 대전시당, 내년 지방선거 앞 '잰걸음'

내년 제9회 지방선거를 앞둔 여야 대전시당이 조직 정비와 인재 양성 등 지선 체제 전환을 준비하고 있다. 지방권력을 차지하려는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뿐만 아니라 지역에 3당 구도 안착을 목표로 한 조국혁신당까지 공격적으로 나서면서 경쟁에 불이 붙는 모양새다. 먼저 조국혁신당 대전시당은 8월 31일 중구문화원 뿌리홀에서 대전·세종 제2기 정치아카데미를 개강했다. 2기 아카데미에는 내년 지방선거 출마 예정자 등 80여 명의 수강생이 등록했다. 첫 강의는 최강욱 전 국회의원이 '이로운 보수, 의로운 진보'라는 주제로 수강생들과 만났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

  • 일찍 끝난 장마에 수위 낮아진 대청호 일찍 끝난 장마에 수위 낮아진 대청호

  •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