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효준 기자 |
그러나 달라진 것도 하나 있다. 요즈음 대한민국의 여름 더위만큼이나 뜨겁기만 했던 올림픽을 향한 대중들의 관심이 점차 차갑게 식어가고 있다는 점이다. 구글 트랜드에 따르면 이번 올림픽에 대한 전 세계의 7월 검색량은 24로, 역대 하계 올림픽 중에서 최저 수준이었다고 한다. 검색량이 가장 많았던 2008년을 100으로 기준 삼은 것인데 2012년 62를 찍고 2021년이 돼서는 39까지 떨어졌다.
올림픽에 대한 냉담한 반응은 국내에서도 어김없이 나타나고 있다. 파리 올림픽의 관심도를 조사한 각종 여론조사들이 하향곡선을 그리고 있고, 개막식의 지상파 3사 시청률이 역대 최저치를 찍었다는 소식이 들리면서다. 시청률의 경우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가 발전하면서 다양해진 유통 경로와 대체 콘텐츠가 그 지분을 가져갔기 때문이라는 분석들이 나온다.
게다가 국내 커뮤니티나 유튜브 댓글과 같은 곳에선 왜 국가대표 선수들이 인기도 없는 종목에서 본인의 명예를 실현하는 과정에, 병역면제나 연금 등 국가적 특혜가 주어지냐고 따지는 글들이 심심찮게 보일 정도다. 다소 냉소적이긴 하지만, 국제 스포츠 경기의 성적이 국가의 권위에 일조한다는 인식이 사라져가고 있는 지금에서는 당연한 반응이라고도 느껴진다.
자연스럽게 엘리트 체육의 무용론과도 직결되는데, 이제는 국가주의나 국위선양 등에 기댄 낡은 접근 방식이 아닌 엘리트 체육의 구조적 변화를 모색해야 하는 시기를 맞은 것으로도 볼 수 있을 것이다. 금메달을 많이 따도 대중들의 공감대를 얻지 못하는 스포츠는 존재 자체의 의미를 갖기 힘들 수밖에 없어서다.
국내에서 사라져가는 올림픽에 대한 관심과 달리 올해 매 순간 인기가 폭발적으로 늘고 있는 스포츠 종목이 있다. 바로 야구다. 올해 전반기 프로야구 관중 수는 600만 명을 이미 넘긴 상태다. 지금 추세라면 국내 야구 역사상 최초 관중 누적 1000만 명도 노려볼 수 있다. 전국 지역 연고를 기반으로 탄탄한 매니아층을 형성한 프로야구는 이제 승리와 패배를 넘어 야구장 특유의 응원 문화와 매력적인 분위기를 20대 남·녀 신규 고객층에 선사하고 있다. 규칙을 몰라도 야구 경기와 응원 열기 자체를 즐기기 위해 구장을 관중으로 가득 메운 풍경은 오늘날 모든 스포츠 산업이 따라가야 할 모습처럼 보여진다.
여기까지 포지셔닝을 성공한다면 성적은 이제 중요한 지표가 아니게 된다. 이젠 금메달의 숫자가 아닌 새로운 가치가 있음을 인정하고 그곳에 집중할 때다.
심효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