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4년 충청권 CTX 노선안(좌)과 기대효과(우). 사진=국토부 제공. |
정부가 2024년 1월 대통령 주재 민생토론회에서 지방권 광역급행철도(x-TX) 선도사업으로 선정한 데 이어, 지난 4월 민자 적격성 조사를 의뢰했으나 완공 시기는 2034년을 내다보고 있어서다. 코로나19 이전 비슷한 시기 수면 위에 오른 GTX는 올해 첫 개통과 함께 2030년 전·후 노선 확대와 함께 수도권 남하 저지선을 확고히 구축한다.
충청권 광역급행철도 CTX 운행의 관건은 수도권에 비해 턱없이 못 미치는 이용 수요와 사업비 충당에 있다.
이의 시험대는 7월 12일 오전 10시부터 11시 30분까지 서울 대한상공회의소 중회의실에서 열리는 제4차 대도시권 광역교통시행계획(2021∼2025) 공청회.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위원장 강희업, 이하 대광위)는 이날 전문가 및 유관기관, 지역주민 등의 참여와 함께 2021년 7월 제4차 계획 공표 이후 추가·변경 사업들에 대한 의견을 청취한다. 대도시권 광역교통시행계획은 관련 특별법에 따라 장관이 대도시권 광역교통시설의 확충과 광역교통체계의 개선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5년 단위로 수립하고 있다.
초점은 ▲경기도 동탄~충북 청주공항 ▲대전~세종~충북 광역철도(반석~조치원~청주공항 65km) ▲대구권 광역철도(2단계, 서대구~의성) ▲용문~홍천 광역철도(용문~홍천) 등 모두 5개 사업의 신규 반영에다 서울 5호선 김포·검단 연장안(방화역~검단~김포)의 본 사업 반영에 맞추고 있다.
대광위 관계자는 "이번 공청회에서 접수된 의견을 면밀히 검토해 대도시권 광역교통시행계획 변경(안)을 최종 확정하고, 광역교통위원회 심의를 거쳐 '제4차 대도시권 광역교통시행계획(2021~2025)'을 변경 고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한 일반 국민들의 의견제출은 7월 18일까지 세종시 어진동 뱅크빌딩 소재 대도시권 광역교통위원회 앞으로 우편과 팩스(044-868-8375), 전자우편(Sunghoonlee@korea.kr, Taehui1@korea.kr)을 통해 가능하다.
이날 공청회에 제출된 6개 핵심 변경안. 사진=국토부 제공. |
2034년까지 로드맵에 큰 변화는 없을 것으로 보고 있으나, 2021년 당시 계획과 달리 청주 도심 노선 포함과 함께 사업비(2조원 대→5조원 대)가 크게 늘고 완공 시기도 늦춰진 상황에 주목하고 있다. 충북 도심 노선은 당시 광역철도 지정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다.
현재 구상안은 대전~세종~충북의 주요 거점, 즉, 대전청사와 세종청사, 국회 세종의사당, 조치원역, 오송역, 청주공항을 최단거리(최대 1시간 이내)로 빠르게 연결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최대 시속 180km의 급행열차를 투입키로 했다.
가장 큰 관심사이자 민감한 사항인 노선안 윤곽은 2025년 하반기 민자 적격성 조사 통과 과정에서 윤곽을 드러낼 것으로 예상되고, 그 다음 수순은 2026년 하반기 우선협상자 선정, 2027년 실시협약 체결, 2028년 착공, 2034년 완공으로 요약된다. 사업 방식은 6년 건설, 40년 운영의 BTO+BTL 혼합형 민간 투자로 제시되고 있다.
그럼에도 국민 대상의 공청회 성격상 대전, 세종, 충북 주민들은 노선안을 중심으로 다양한 의견을 쏟아낼 것으로 예상된다. 자신의 거주지로 역 설치 여론을 조성하기 위한 움직임부터 대전과 세종, 충북 도심 곳곳에 설치는 최단시간 이동을 저해할 것이란 우려 등을 포함한다.
CTX 개통 후 기대효과는 ▲대전청사~세종청사 15.5분 ▲세종청사~충북도청 25.5분 ▲대전청사~서울 95.5분 ▲세종청사~서울 85분 ▲조치원~서울 77.5분 등으로 예측되고 있다.
한편, 제4차 대도시권 광역교통시행계획을 보면, 수도권 대상사업이 76개로 교통 인프라 쏠림 현상을 보여주고 있다. 부산·울산권 19개와 대구권 10개, 광주권 3개, 대전권 14개 등 지방의 대상 사업은 46개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공청회 후 7월 18일까지 진행될 의견 수렴서 양식. 사진=국토부 제공.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