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10일 오전 세종시청 기자실에서 간담회를 갖고 있는 민주당 이강진 세종시 갑구 지역위원장. 사진=이희택 기자. |
이강진 위원장은 7월 9일 오전 9시 30분 김효숙 갑구 지역위원회 사무국장(시의회 제1부의장)과 세종시청 기자실을 찾아 티 타임을 갖고, "원외 위원장은 처음 해본다. 정당은 이제 상명하복의 과거 프레임 대신 당원권 강화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당원들의 의견을 많이 들어 지역위원회 운영을 해나갈 것"이라며 "8월 중순 이전 중앙당의 공모로 시당위원장 선출 등의 일정이 공식화되면, 시당위원장 출마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그동안 관례상 현직 국회의원이나 단체장을 중심으로 경선 대신 합의 추대가 주류를 이뤄 왔던 만큼, 조심스런 접근법을 택한 셈이다.
지역 정치권도 2020년 총선에 이어 이 위원장과 강 의원 간 또 다른 리턴 매치가 성사될지 예의주시하고 있다. 강 의원은 오는 7월 12일 세종시청 브리핑룸에서 시당위원장 출마를 공식화할 예정이다. 강 의원은 2020년 8월부터 2022년 8월까지 지방선거와 대선 등을 진두지휘하는 시당위원장을 맡아본 뒤, 갑구 홍성국 전 의원에게 바통을 넘겨줬다.
이 위원장은 이 같은 시선과 그 간의 정치 여정을 돌아본 듯, 사심 없는 움직임을 강조했다. 시당위원장 출마 후 당선이 되더라도, 2026년 6월 3일 지방선거에 출마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그는 "시당위원장이 된다고 시장 출마를 못하는 (당헌·당규) 규정은 없으나 (앞으로 1년 6개월 후인) 120일 전 사퇴를 해야 한다. 선거를 지휘해야할 시당위원장이 시장 출마를 한다고 해선 안되기에 그런 선택을 하지 않을 것"이라며 "시당위원장에 출사표를 던지더라도 자리를 위한 선택은 하지 않겠다"고 거듭 강조했다.
시당위원장의 가장 큰 목표는 2022년 지방선거로 내준 세종시장 자리를 다시 가져오는 역할로 규정했다. 광주 등 원외 인사의 시당위원장 출마 사례부터 갑과 을이 번갈아가며 시당위원장을 맡는 구조도 제시했다.
이 위원장은 "그동안 정무부시장과 코레일 상임 감사 등의 역임은 당원들의 뒷받침과 응원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이제 그 경륜과 지혜를 돌려줄 때가 됐다"며 "지역위원장 역할은 사심없이 하는 것이 중요하다. 마음을 완전히 비우고 당을 활기차게 만들고 싶다. (현재) 마음은 굉장히 편하다. (제가 시장 등의) 출마를 공식화하는 순간, 당 운영을 정상적으로 해나가기 어려워진다"고 말했다.
2020년과 2022년 총선 출마 과정에서 불거진 '이해찬 전 대표 복심 논란'과 '전략공천설', '2차례 경선 패배'에 이어 갑구 지역위원장 선출 과정의 '단수 추천' 논란 등의 시련과 오해의 시선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경선 등의 과정에서) 많은 부분이 저에 대한 오해에서 비롯했다. (당시) 중앙당과 소통 과정에서 일부 특정인의 전략공천 제안을 받아 선택을 잘못한 부분이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안하겠다"며 "갑 지역 대의원이 5000명 이상이었으나 현재 3600명 선에 머물고 있다. 당원 배가 운동으로 더 많아져야 한다. 앞으로 당이 달라지는 모습을 보면, 그런 부분(오해나 불신)들은 해소될 것"이란 자신감을 내비쳤다.
그럼에도 개문발차(開門發車)란 표현과 함께 선은 분명히 그었다. 자신에 대한 오해에서 비롯한 상황 때문에 당 재정비 시간을 지체하지 않겠다는 뜻이다. 단수 추천을 놓고 비판 입장을 견지한 조상호·박범종·배선호 후보 등과 지지자들에 대한 발언으로 해석된다.
이 위원장은 "일치단결해서 한 차에 모두 싣고 출발하면 좋겠으나 문은 열려 있으니 누구나 올라타 주길 바란다. 2022년 대선과 지방선거에서 많은 당원들이 투표를 안 했다. 당원들을 움직일 수 있는 요인들이 부족했다. 이렇게 가선 안된다"며 "그렇다고 (현재 상황과 저를) 수긍하지 못하는 분들은 어떻게 하겠는가. 신뢰 관계로 믿고 따라와 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그런 의미에서 7월 11일부터 13일까지 3일 간 당원들과 총 8회에 걸쳐 소그룹(10명 이내) 타운홀 미팅을 예고했다. 밀도 높은 대화를 통해 지역위원회 운영 방향과 지역사회 이슈 등의 의견을 듣겠다는 취지다.
2026년 지방선거의 필승 원칙도 제언했다. 승리하는 후보를 선택하는 과정이 공정하면, 경선이든 단수 추천이든 방식은 그 다음 문제로 봤다. 1개 지역구에 당원이 200명 안팎인데 이걸로 후보를 정하는 건 불합리하다는 뜻이다.
지역 현안에 대한 자신만의 견해와 접근법도 시사했다.
▲지지부진한 국회 세종의사당 추진 TF팀 운영 가속도 ▲다시 돌아갈 수 없는 청와대, 용산 대신 세종으로 집무실 이전 추동 ▲환경단체의 4대 강 프레임 적용은 잘못된 접근 방식, 금강 세종보 해체 결정(문재인 정부의 국가물관리위원회)은 유효 ▲최민호 세종시정부에 대한 평가는 유보 등으로 나타났다.
강준현 의원을 넘어 민주당 출신의 새로운 미래 김종민(60·세종 갑) 의원, 국민의힘 이준배 세종시당위원장 등과 협치 구상 등은 따로 언급하지 않았다.
이날 이강진 위원장의 입장이 분명히 확인된 만큼, 향후 세종시당과 지역 정치권 구도에 어떤 변화가 찾아올지가 관전 포인트로 남게 됐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이강진 위원장 선임 이후 6월 23일 진행된 세종시지역위 정기 대의원대회 모습. 사진=민주당 제공.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